300억 규모의 역사박물관이 들어선다. 하지만 위치를 놓고 의견이 갈린다. 해남군은 접근성 등을 고려해 해남읍 연동을 최우선지역으로 꼽고 있다. 이에 접근성보단 역사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장소에 대한 각자의 의견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장소에 대한 여러 의견이 나오지만 녹우당이 있는 읍 연동은 맞지 않다는 의견이 높다. 문학의 상징장소에 역사박물관이 들어간다는 것은 불편한 동거라는 이유에서다.
해남군이 읍 연동을 박물관부지로 선택한 것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위치에 대한 다른 의견이 나오기에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가겠다며 주민공청회 등 충분한 공론화를 통해 위치선정을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하겠다는 입장이다.
역사박물관은 위치도 중요하지만 콘텐츠도 중요하다. 300억원 규모의 건물에 빈약한 콘텐츠라면 외면받은 건물이 될 수 있다. 또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역균형이란 건물을 분산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지역마다 갖은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을 하자는 의미이다.
마산면은 식품특화단지로, 황산은 공룡, 우수영은 명량해전으로 특화되고 있듯 현산면은 고대역사를 중심으로 특화시킬 수 있는 곳이다.
특히 화산면과 현산면 거리는 한눈에 보일만큼 쇠락을 맞고 있다. 땅끝을 가는 거점지로 키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지역을 특화시키는 것은 지역균형발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번 해남군이 공청회에서 밝힌 박물관은 위용면에선 대단한 규모이다. 그런데 상상력이 보이지 않는다. 박물관은 꼭 거대해야 하는가. 해남역사박물관을 건물로 승부하려 한다면 위험하다. 해남역사박물관은 해남군의 정체성이자 역사를 담아내는 공간이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현지주민들의 의견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해남군의 너무도 많은 용역 실패사례를 겪어봤기 때문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해남역사박물관 장소를 고민해야 한다. 해남읍 연동은 아니다.
- 기자명 김성훈 시민기자
- 입력 2020.11.30 14:14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