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차세대 재생력 지수 전국 으뜸
인구정책, 전출 막을 방안 가장 시급

 해남의 전출인구가 전입대비 1,000명 이상 차이나면서 전출을 막기 위한 정책연구가 시급하다.
 해남군의 인구는 매년 줄어들어 2000년 10만대가 무너지고 20년 뒤인 현재 6만8,000명까지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10년 후면 4만대까지 무너진다.
 하지만 회복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농촌경제 연구소에 따르면 ‘차세대 재생력 지수’에서 가장 높은 시군 중 하나로 해남이 뽑혔다.
 재생력지수는 고령화 비율이 아닌 지역의 인구학적 미래인구를 예상하는 하나의 지표로 25~39세 인구와 0~4세 인구를 백분율로 산출하는 방식이다.
 즉, 현 시점에서 최근 5년 동안 결혼한 가구에서 출생아수를 나타내는 지수다.
 해남의 재생력 지수(84.8%)는 전남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서울(40.6%), 부산(50.9%). 영광(76.6%)과 비교해도 크게 앞서는 수치다.
 따라서 정책에 따라 해남의 미래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해남군의 ‘2019~2020년 6월까지 인구전출입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면 2,582명(34.2%)이 직업 때문에 해남을 떠났다.
 다음으로 가족 2,457명(31.8%), 주택 1,192명(15.4%), 교육 675명(8.74%) 순으로 집계됐다.
 전출 대상지는 전라남도가 1/3, 광주광역시와 합하면 절반 이상인 55.12%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서울, 인천, 경기권이 25%다. 전출인구가 전남권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해남으로 전입 오는 경우도 직장이 가장 높다. 그러나 교육을 위해 전입하는 숫자는 1%에 그쳐 전출 사유9%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주택, 교육 관련해 전출입에서 15% 이상의 격차를 보이는데 15%는 해남인구 1,100여명으로 해남군의 한해 평균 감소인구와 비슷하다.
 해남지역 교육의 장점을 살리고 공공주택이나 쉐어하우스에 집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전북완주의 경우 쉐어하우스에 입주한 청년이 243세대를 넘어섰고 최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우상호 의원은 청년 10평, 신혼 20평, 장년 30평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해남지역도 낡은 아파트나 빌라 등을 사들여 리모델링 후 청년 주택으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간간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 분야도 해남의 장점을 살리고 문화·체육·예술 계통과 성적 우수학생들에게 매력적인 교육환경을 마련해줘야 할 과제가 남겼다.
 해남군은 전출·전입이 가장 활발한 30~40대를 위해 청년 디딤돌 통장과 구직활동 지원사업, 신혼부부 보금자리 대출이자 지원사업, 농촌사업가 양성 등 6개 부서 8개팀, 26개의 사업이 진행 중이다.
 여기에 혜택 대상자는 500명가량이며 총사업비는 국도비 합산 108억 규모다.
 이는 해남 1년 총예산 1조원시대의 1/100에 해당한다.
 단일사업당 예산이 150억~200억을 넘어가는 시대임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규모임은 확실하다.
 해남군의 인구정책, 귀농귀어 정책도 중요하지만 현재 해남에서 거주하는 군민들의 전출을 막을 수 있는 정책전환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