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인구 감소세가 너무 가파르다. 매년 1,500여명이 줄어든다. 원인은 전출인구다.
전출을 막는 것이 해남인구를 지키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먼저 해남을 떠나는 연령층을 봐야 한다. 대부분 청장년층이다. 이들이 떠나는 것은 직장과 교육문제다. 해남군은 출산장려금을 지원하며 아이 낳기 좋은 해남군을 만들어왔다. 여기에 해남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위한 교육과 문화 등을 강화해야 한다. 해
남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매년 장학금을 지원하는 과감한 정책. 예체능계 아이들이 해남에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도 만들어야 한다. 청년지원 정책도 강화해야 한다. 해남군은 청년창업지원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고 올해부터 청년 3명 이상 동아리에도 지원을 한다. 여기에 청년지원정책을 주거문제로까지 확장해야 한다.
해남군의 출산지원정책은 촘촘하다. 이러한 촘촘함 때문에 해남군 출산율은 전국에서도 알아준다. 교육문제와 청년지원 정책도 이러한 꼼꼼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남군의 예산비율은 농수산업과 관광, 노인복지분야이다. 이들 분야에서 아이들의 교육과 청년과 연계할 수 있는 예산을 살펴야 한다. 농수산업 예산 중 토목공사 같은 예산은 과감히 줄이고 종사하는 이들을 직접 지원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물론 관광예산도 중요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해남에 살고 있는 이들의 행복지수이다. 해남에 거주하는 이들에게 대한 예산 지원, 그래야 전출을 막을 수 있다. 해남인구를 늘리기 위해 귀농 귀촌도 중요하다. 그러나 귀농귀촌 지원예산에 비해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분석도 해야 한다. 청년창업 지원정책처럼 해남 거주 청년에게 직접 지원하는 것과의 분석을 통해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또 해남공고 및 해남에서 고교를 졸업한 이들에게 대한 차등적 지원을 해야 한다. 해남에서 태어나면 촘촘한 출산지원 정책에 이어 전 학생에 대한 장학금 지원, 청년이 되면 창업지원 등으로 이어지는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해남군 전체 예산을 놓고 해남인구를 지킬 예산, 전출을 막을 수 있는 지원정책의 전환이 시급하다
- 기자명 해남우리신문
- 입력 2021.01.18 16:48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