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과 육상 경계, 행정 영향 못미쳐 방안 시급
쓰레기 야적장으로 변하는 어촌마을 바닷가, 대안은 없을까.
해남군은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화산 12개소, 송지 15개소, 북평 7개소 등 총 50곳에 해상쓰레기 집하장을 운영하고 있다. 바다 가운데 떠 있는 15톤 규모의 해상쓰레기 집하장에 쓰레기가 모이면 집하장 선체를 선착장으로 끌고와 위탁업체에서 쓰
레기를 수거해 가는 방식이다.
이어 해남군은 육상인 화산 송평과 구성리, 송지 엄남리, 어란에 육상 해양쓰레기 집하장도 운영 중이다.
해남군은 해양쓰레기처리 예산도 대폭 늘렸다. 2017년 3억에 그치던 예산을 2018년 9억4,000만원, 2019년도 10억, 2020년도에는 22억까지 크게 올렸다. 이러한 집하장과 예산 증액으로 해상쓰레기는 감소하는 추세다.
그러나 어촌바닷가 쓰레기는 여전하다. 이유는 바닷가 쓰레기는 해상도 아니고 육상도 아닌 경계선에 위치하기에 행정의 공백이 머물기 때문이다.
바닷가 쓰레기는 읍면 각 어촌계별로 2개월에 한번 정도 군의 예산 지원을 받아 일제히 청소에 나선다. 그러나 바닷가로 매일 밀려오는 쓰레기와 버려지는 쓰레기를 감소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해남은 리아스식 해안 때문에 바닷가에 쓰레기가 범람한다. 또 각 가정에서 쓰레기를 바닷가에 버리는 것도 생활화돼 있다. 생활가구부터, 생활쓰레기, 양식장 폐어구 등이 나뒹구는 바닷가 모습이 흔한 풍경이 된 것이다.
이에 일부 어민들은 선상쓰레기 집하장처럼 마을과 부둣가에도 쓰레기 집하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행정에서는 바닷가 마을 육상쓰레기 집하장에 대해 회의적이다.
해남군 관계자는 “육상쓰레기 집하장은 관리부분에서 문제가 따른다.
농촌마을에는 비닐 집하장과 쓰레기 분리수거 시설이 존재해 일상적인 수거가 가능하지만 바닷가 쓰레기는 대형폐기물과 바다어구 등이 많아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스티로폼 부표와 어업용 그물 등에 대한 어구 실명제를 도입을 준비하고 있고 창원시는 어구실명제를 시범 시행하고 있다. 또한 해양쓰레기 수 거선을 운영해 바다 위 쓰레기를 수거할 것이라는 방안도 나온다. 하지만 바닷가와 선착장 인근으로 몰리는 쓰레기는 대안은 없는 상태다. 그렇다면 과연 바닷가 쓰레기를 감소시킬 방안은 없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