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병교/행안부 주민자치 수석컨설턴트
문병교/행안부 주민자치 수석컨설턴트

 

 필자가 작년 1년 동안 행안부 주민자치 수석컨설턴트 임무를 수행하면서 해남의 마을들을 공부하고 살피면서 오갈 때,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던 어느 날 너른 해남 황토밭에서 배추를 심는 아짐들을 보았다.
 지나가는 길손의 관점에서는 낭만이었으나 배추 한 포기를 심을 때마다 허리를 구부리고 수천 번 구부렸다 폈다 했을 아짐들의 허리를 생각하니 마음이 아리고 아팠다.
 문득 오래전에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이 났다. 평생을 땅에서 소처럼 일하면서 오직 자식만 위하고 어른들 모시면서 종부의 고단한 삶을 살다 땅으로 돌아가신 내 어머니의 거친 손과 다 닳은 호미가 꿈처럼 아득하다.
 울 어머니도 그러했고 수많은 다른 어머니들도 자식이 시골에 남는 것을 큰 수치로 생각하고 이왕이면 도시로 더 큰 대처로 나가길 소원했다. 그러는 사이 마을은 텅 비어가고 지역소멸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은 일상이 됐다. 아이들이 바글바글하던 마을 골목은 텅 비어 을씨년스럽기 그지없는 풍경이다.
 얼마 전 교육부 자료를 보니 ▲서울 2개 ▲부산 44개 ▲대구 36개 ▲인천 57개 ▲광주 15개 ▲울산 27개 ▲세종 2개 ▲경기 169개 ▲강원 460개 ▲충북 253개 ▲충남 264개 ▲전북 325개 ▲경북 729개 ▲경남 582개 ▲제주 32개교로 총 3,843개 폐교 중
전남이 828개교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이 통계를 보면 농어촌이 많은 전남의 경우가 가장 심각함을 알 수 있다. ‘내 아이가 다 커서, 내 손자도 이미 졸업해서 나와 상관이 없다’ 말하지 마라.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는 그 순간에도 학교는 소리 없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절벽이 현실이 된 작금에 각 지자체에서는 기상천외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면서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위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교육과 마을공동체의 상관관계’를 외면하면 백 가지 정책이 다 헛수고가 된다.
 농산어촌의 과소화와 소멸 위기에 대처하고 마을공동체를 지키고 공동체성을 복원하려면 단순히 교육청이나 학교 교사만이 학교를 책임진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마을이 다 무너지고 나면 학생들이 어디서 나올 것인가? 우리가 학교를 지켜야 하는 까닭이고, 마을교육공동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농산어촌으로 이주를 원하는 청년들에게 최소한의 조건에 관해 물었다.
 그들은 대략 3~4가지를 말했는데 첫째가 주거의 안정, 둘째 적당한 일자리, 셋째 문화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넷째 아이들을 교육할 수 있는 학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주는 각종 정착금이나 지원금보다 중요한 몇 가지가 더 있다. 그것은 외부에서 온 사람들을 우리 마을의 일원으로 품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위 4가지 조건도 함께 수반돼야 젊은 사람들이 우리 지역으로 들어온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한다. 단순히 산자수명(山紫水明)하다는 자부심만으로 요새 젊은이들에게 큰 감동을 줄 수 없다.
 2021년 우리 전남의 농산어촌도 우리 해남의 마을도 붕괴 직전 백척간두에 서 있다.  혹자는 내게 ‘누가 그걸 모르냐?’고 비아냥거릴지 모르겠다.
 맞는 말이다. 지금은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행동할 때’다. 지역소멸의 현실 앞에서 행정도 주민도 전문가도 힘을 합쳐 거버넌스를 통해 답을 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