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51명, 전남도의원들 반발 성명서 발표
중앙당, 윤재갑 국회의원 몰래 결정했나
명현관 군수의 예상치 못한 민주당 복당 소식에 해남지역 내 민주당원들의 당황한 기색이 크다. 한마디로 기습 복당 소식에 허를 찔린 셈이다.
명 군수의 민주당 복당 이야기는 지난해부터 거론됐다. 그러나 복당할 경우 내년 6월 치러질 군수선거 당내 경선에서 25% 감점을 받게 돼 쉽게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이번 발표된 복당은 중앙당 차원의 영입 차원의 복당이라 25% 감점이 사라진다. 민주당 다른 후보들과 똑같은 출발선에서 레이스를 밟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누가 명 군수의 민주당 복당을 성사시켰을까.
중앙당 차원의 영입 복당은 민주당 대표와 사무총장, 전남도당 위원장의 결정에 의해 가능하다고 한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명 군수가 전남도의회 의장 시절 전남도지사에 재직했고 민주당 사무총장인 박광온 의원은 명 군수와 광주상고 동문 사이다. 전남도당 위원장은 고흥‧보성‧장흥‧강진 지역구 위원장인 김승남 의원이다. 단 김승남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 인사들의 당 차원의 영입복당에 대해선 분명한 반대입장을 표명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해남 지역구 의견을 무시한 채 중앙당 차원만의 결정이 가능할까.
지역 정가에서는 지역구 위원장이 반대하면 중앙당 차원의 결정이 쉽게 나올 수 없고 특히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이낙연 대표가 지역구 위원장의 의견을 무시한 채 결정할 수는 없었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윤재갑 의원은 사전 의사 타진이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중앙당이 대승적 차원에서 무소속 인사들을 영입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자신에게 의견을 물어왔어도 반대할 명분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 의원은 민주당이 성장 발전하려면 새바람을 일으킬 필요가 있고 군수 선거에서 공정한 경선 룰을 확립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윤재갑 의원의 답변과 달리 주변에선 윤의원이 적극 찬성했기에 중앙당의 결정이 쉽게 나왔을 것이란 의견이다.
이번 명 군수의 민주당 입당과 관련 해 여러 설이 나오고 있지만 대선 후보인 이낙연 대표의 입지는 전남에서 좁아졌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명 군수를 포함한 인사들의 민주당 복당과 관련해 전남도의회 민주당 소속 51명은 지난 2일 성명서를 내고 중앙당은 합리적인 복당 기준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51명 도의원들은 “당을 버리고 떠난 정치인들에게 단지 개인적인 친분이나 대선에 유리하다는 이유만으로 아량을 베푼다면 조직을 위해 헌신한 당원들의 허탈감과 반발심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정당한 페널티를 부여해 오랫동안 당 을 지켜온 당원과의 합리적인 차별이 반드시 제공돼야 한다. 또 당에 남아 민주당을 위해 묵묵히 일해온 당원들을 먼저 보듬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낙연 대표는 박근혜, 이명박 전대통령의 사면발표 이후 호남에서 지지도가 하락하고 있다. 해남에서도 이낙연 대세론이 흔들리며 정세균 총리와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지지하는 조직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낙연 대표는 대선에 앞서 먼저 민주당 경선을 통
과해야 한다. 당내 경선에서 활발히 움직여줄 조직은 도의원과 기초의원 들이다.
그러나 이번 명 군수의 입당과 관련해 이낙연 대표에 대한 볼멘소리가 심상찮게 들려오고 있다. 당 기초조직을 무시한 일방적 통보라는 비판이다.
윤재갑 의원에 대한 눈초리도 싸늘하다. 대선과 총선, 군수 선거까지 민주당을 위해 뛰었던 지역구 당원들에게 의견 한마디 묻지 않고 밀실 결정을 했다는 비판이다.
또 정작 중앙당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고 내용을 몰랐다는 주장은 지역구 위원장으로서 책임을 회피하는 발언이라며 더욱 반발하고 있다. 윤재갑 의원을 중심으로 이낙연 대표를 지지하는 단일대오가 흔들릴 수도 있게 된 것이다.
해남의 모 당원은 “그동안 민주당 선거를 위해 뛰었던 일들이 너무도 허무하다”며 “해남 당원들 몰래 밀실로 복당을 결정하는 중앙당의 처사는 민주당이 예전의 권위적인 정당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당원은 “명 군수의 이번 입당은 본인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한 것이다. 또 명 군수의 입당으로 향후 있을 해남군수 선거가 지역갈등의 감소라는 측면이 있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이러한 식의 중앙당의 일방적 결정은 기초단위에서 민주당을 지켜온 당원들을 너무 쉽게 본 결정인 것만은 사실이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