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바닷가는 쓰레기하치장, 관리 불가능한가
공공근로인력 파견, 행정 의지만 있다면 가능
매일 엄청난 양으로 쏟아지는 쓰레기, 쓰레기의 관리에 있어 주민들은 분리 및 수거, 행정은 운반 및 처리로 그 역할이 나뉜다. 해남읍과 농촌마을의 쓰레기 관리는 체계가 잡혀져 있다. 그러나 바닷가는 다르다.
지난 1일 화산 해안가 선착장 마을을 찾았다. 선착장까지 이어지는 300m 구간은 처음부터 끝까지 어업기자재가 쌓여 있었는데 깔끔하게 정리된 곳이 있는가 하면 쓰레기에 가까운 어구들이 어지럽게 흩어진 곳이 대부분이었다. 도로 옆 가장자리도 모자라 뒷산 풀숲까지 쓰레기가 침범했고, 수풀이 무성할 땐 보이지 않던 것들이 겨울철이 되면서 하나둘 모습을 드러냈다.
선착장으로 이어지는 해안도로는 일부 어민들 간 암묵적인 구역을 정해 어구를 적재하고 있었고 사실상 불법적재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행정에서는 생업과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손을 쓰기 어렵고 주민들 또한 생활에 지장을 주는 것이 아니기에 방관으로 일관했다. 불법 적재도 문제지만 해안가의 불법소각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보통 종이나 목재 같은 쓰레기의 경우 부피가 크고 무거워 소각하는 경우가 더러 있지만, 어촌마을의 소각장소를 보면 스티로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컵, 알루미늄 깡통, 현수막, 고무장갑, 우유, 그물 등 완전연소가 되지 않는 소재도 모조리 소각시키고 있었다.
또한 소각장소가 공공연한 곳에서 이뤄지면서 불법소각에 대한 경각심도 미비한 상태다. 이어 해안 곳곳의 평평한 바위에도 반드시 소각 흔적이 있어 바닷가에선 불법소각이 일상이 돼버렸다.
바다에서 밀려온 해양쓰레기를 탓하기엔 누가 봐도 일반쓰레기가 버젓이 버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민들의 의식도 문제지만 이러한 문제를 장기간 방치해 행정도 책임이 있다.
도심과 달리 CCTV와 같은 불법투기를 예방하는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고 이를 관리·감독할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해남은 지리적으로 서남해안을 끼고 있는 지역임에도 바닷가 쓰레기를 수거하고 감시하는 환경지킴이는 16명뿐이다. 인력도 문제지만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마련되지 못해 지난해 해양쓰레기 관련 예산을 소진하지 못하고 4억원 가량을 반납했다. 해양쓰레기의 기준이 어촌마을이 아닌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에 국한돼
있기 때문이다.
해남군에서는 선착장이나 어촌마을에 대규모 쓰레기 집하장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관리상의 이유를 들었다. 지금도 무분별하게 방치되는데 집하장을 만들면 일반 생활쓰레기가 쏟아져 나올 것이 불 보듯 뻔한 이유이다. 그렇다고 일반 도심처럼 소규모 집하장을 만들기에도 쓰레기 분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무리가 따른다.
쓰레기가 너무 쉽게 버려지고 방치되는 어촌마을의 고착화된 환경은 ‘누구나 쉽게 쓰레기를 버리는 곳’으로 일반인들의 인식마저 퇴보 시키고 있다. ‘바다환경정화운동’과 같은 일시적인 캠페인이나 움직임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인력체계가 하루빨리 만들어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