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노인 학습·운동·노래 지원
해남군보건소 공모사업 준비 중

해남군보건소가 그룹교육용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탑재된 로봇을 활용해 치매예방에 나선다.(그룹형 로봇 실벗)
해남군보건소가 그룹교육용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탑재된 로봇을 활용해 치매예방에 나선다.(그룹형 로봇 실벗)

 

 해남군이 로봇을 활용한 노인 케어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해남군보건소는 지난 3일 해남군의회 간담회 자리에서 ‘로봇활용 사회적 약자 편익지원사업’에 관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 사업을 위해 보건소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공모사업을 진행 중이다. 총사업비는 2억5,000만원(국비7, 군비2, 자담1)이 소요된다.
 로봇활용 목적은 치매 고위험군의 인지저하 예방을 돕는 것이다.
 로봇의 종류는 실벗과 보미-1인데실벗은 그룹교육용 인지훈련로봇으로 2016년 경기도 수원시를 시작으로 치매안심센터 등 전국 보건소 산하 치매안심센터 35개소 이상에서 운영 중이다. 인간 형태를 하고 있으며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문의 및 신경심리 전문가와 공동으로 개발한 콘텐츠를 탑재해 개인별 치매·우울검사에 따라 학습난이도를 설정한 후 콘텐츠 별 1~10단계로 적용할 수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장보기를 연상시키는 장면으로 남은 돈의 금액을 맞추거나, 단어 짝 맞추기 등으로 뇌기능을 높이는 20종의 콘텐츠로 구성돼 있다.
 음성지원으로 노래가 나오고 팔이 일정 각도로 움직여 어르신들이 로봇을 따라 춤을 추기도 한다.
 보미-1은 탁상형 개인용 인지훈련 로봇으로 참여자가 각 가정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뇌기능 활성화와 치매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남군에서는 실벗 2대를 보건소와 지역 내 복지관에 설치하고 보미-1은 16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해남군의회 이성옥 의원은 “인간이 인간을 케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 노인케어에 있어 로봇을 도입하는 것에 먹먹함을 느낀다. 로봇은 보조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김종숙 의원은 “순천, 광양시의 실
적이나 결과에 좀 더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