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재구/황산면 전 군의원
명재구/황산면 전 군의원

 

 세계 각국의 나라들마다 그 나라의 국기(國旗)와 국가(國歌)가 있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태극기(太極旗)이며, 국가는 애국가(愛國歌)다.
 우리는 초등학교 입학에서부터 줄곧 애국가를 불러왔다.
 학교에서, 군대와 직장에서, 국경일이나 각종 기념식에서 애국가를 제창한다.
 올림픽이나 세계대회 우승 시 태극기가 게양되고 애국가가 울려 퍼질때면 온 국민은 애국하는 마음으로 가슴 뭉클함을 함께 느낀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 어느 날, 나와 가장 가까이 지내왔던 친구의 병문안을 갔다.
 그는 5년 전부터 뇌경색으로 삶의 의미를 상실한 체 지금까지 요양원에 입원 중이다.
 그는 병문안을 갈 때마다 휠체어를 타고 병실 밖 산책을 요구했다. 그날도 나는 휠체어를 뒤에서 밀며 산책을 하며 그에게 물었다.
 “자네가 잘 부르던 나훈아의 ‘영영’ 한 번 불러보게나” 했더니 대뜸 “몰라”였다. “그럼 이용의 ‘잊혀진 계절’ 불러보게” 하니 한참을 기다리다, 첫구절을 읊조려 보다 나직한 목소리로 “안돼” 했다. 그가 노래방에서 즐겨 불렀던 노래였다.
 나는 불쑥 “애국가는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했더니 말이 끝나기도 전에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거침없이 부르는 것이 아닌가.
 후렴 부분은 함께 합창으로 끝을 마쳤다. 실로 감동이었다.
 국가는 국가대로 국기와 국가가 있듯이, 각 시도, 군도 시‧군기와 찬가가 있다.
 나는 해남 찬가의 역사에 대해 알지 못하지만, 아직까지 기억 속에 남아있는 노래의 몇 구절을 생각해 보면, 공허함과 안타까움이 밀려온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은은한 풍경소리, 대흥사 해탈문에 산새가 우네. 백설같은 목화꽃이 송이송이 우거질 때, 옥천들 저녁노을 나풀거린 ○○로다. 에헤야 자랑이요동백꽃 핀 해남이라네」
 60년대 경에 불렸던 해남군민의 노래였으리라 짐작될 뿐이다.
 바라옵건대, 누군가 본 노래의 가사와 악보를 보존하고 계시다면 지면을 통해 공개해 주시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하여 현존하고 있는 해남군민의 노래를 보존하고 앞으로 이어나가야하기 때문이다.
 현재 불리고 있는 ‘해남찬가’는 잘은 몰라도 대중적이고 경쾌한 멜로디라 생각된다.
 「기름진 넓은 벌에 두륜산 높이 솟고, 맑은 물이 굽이쳐 서해로 흐르니, 아름다워라 우리 해남 살기 좋은 내고장. 만만세」
 가끔 마을 방송을 통해 전주곡으로 몇 구절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전부다.
 앞으로 언제쯤 해남찬가가 다시 탄생 될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군민 정서에 맞고 현대적인 감각과 시대상에 부합한 불후의 명곡으로 웅비하는 해남을 다함께 노래 부를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