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액은 297억1,200만원, 피해액의 3배

 이번 집중폭우에 따른 해남 총 피해액이 91억4,100만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해남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해남 총 피해액 중 공공시설물 피해액은 75억9,600만원, 사유시설 피해액은 15억4,500만원이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4개 지자체 중 가장 큰 피해 규모다.
 피해에 따른 총 복구액은 297억1,200만원으로 집계됐다. 피해액의 3배가 넘은 복구비가 필요한 것이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기에 피해복구비의 80%를 국비로 충당한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피해 주민에게는 국세·지방세 납세 유예 및 감면 등 기존 지원외에도 건강보험료, 통신, 전기, 도시가스 비용 등이 감면된다.
 또한 이번 호우피해에는 전파사용료 감면과 우체국 예금 수수료 등 면제, 고용산재보험료 경감, 농지보전부담금 면제, 국민건강보험료 연체금 경감 등의 혜택도 추가로 시행된다.
 명현관 군수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위해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여러모로 애써주신 관계자분들께 감사하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재난지원금 지급 등 관련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자체 집계 복구예상액이 297억원에 이르는 만큼 복구 및 피해지원금의 현실화와 농작물, 수산물 등의 생물 피해가 포함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갈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은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해남군이 자체 조사한 피해 내용을 토대로 현장 조사를 펼쳤다.
 조사결과 피해를 입은 360건 중 국고지원 기준액인 피해액 3,000만원 이상, 복구액 5,000만원 이상인 곳은 63건으로 파악됐다.
 63건 모두 공공시설물이다.
 이번 폭우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하천이다. 소하천의 경우는 가을부터 복구작업에 들어간다. 그러나 피해액이 큰 지방하천은 복구에 많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특히 지방하천의 경우 홍수피해 50년 빈도로 설계된 것을 80년 빈도로 설계해야 하기에 복구작업이 더딜 전망이다. 다만 해남군은 올 말까지 임시적 복구는 완료할 계획이다.
 한편 폭우피해 관련 지난 19일 열린 군의회 간담회에서 민경매 의원은 피해 내용에 고추탄저병 피해를 넣을 것을 주문했고 박종부 의원은 바닷가 쓰레기 처리를, 이정확 의원은 고구마밭에서 밀려온 토사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매년 반복되는 고구마밭의 토사유출에 대해 밭주인의 책임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종숙 의원은 가전제품이 물에 잠겨버린 피해 농가를 위한 방안을 찾아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