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기초의원 4개 선거구→3개로(?)
민주당, 3인 이상 중대선거구 개편 의지

 6‧1전국동시지방선거가 3개월도 남지 않는 상태에서 기초의원 선거구가 어떻게 바뀔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와 관련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이번주부터 시도별 광역의원 정수 확정 작업에 들어갈 예정인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기초의원을 한 선거구에서 최소 3인 이상을 뽑는 중대선거구 도입 여부다.
현재 해남군의 기초의원 선거는 가선거구(해남읍‧마산‧산이)와 나선거구(황산‧문내‧화원), 다선거구(현산‧북평‧송지), 라선거구(계곡‧옥천‧화산‧삼산‧북일)로 나눠 치러진다. 
이중에서 가선거구만 3명의 당선자를 뽑고 나머지 선거구는 2명을 선출한다.
그러나 기초의원 선거가 최소 3인 이상 중대선거구로 개편되면 해남의 경우 4개 권역으로 나눠 치러지던 선거구가 3개로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14개 읍면을 놓고 이합집산이 일어나는 것이다.
기초의원 최소 3인 이상 중대선거구 도입이 최근 화두로 떠오른 것은 민주당이 대선에서 이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 초선의원 모임인 ‘더민초’도 도입을 촉구하고 있고 윤호중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지난 15일 기자회견에서 6‧1지방선거 때부터 도입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태다.
특히 이러한 내용의 정치개혁은 지난 대선에서 여야가 약속한 내용이어서 이번 6·1 지방선거부터 지켜질지가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
그동안 치러진 기초의원 선거도 득표수에 따라 상위 2∼4위를 당선자로 선출하는 중선거구제였다. 
그러나 기초의원 선거구를 획정하는 각 지역 광역의회에서 3∼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쪼개는 방식으로 제3정당 의회 진입을 차단해왔다. 
이와달리 기초의원 2~4인 선거구가 아닌 최소 3인 이상으로 못을 박는 중대선거구 도입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이러한 쪼개기 관행이 해소되고 정의당 등 제3정당의 기초의회 입성 기회도 넓어진다. 
당초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 법정시한은 선거 6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1일이었지만 국회가 각급 지방의회 의원 정수를 정해주지 않아 시한을 넘겼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18일까지 선거구 획정을 끝내달라고 국회에 요구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