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사무소 개소 미루고
예비공보물 제작도 미뤄

 6·1전국동시지방선거가 불과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 획정이 결정되지 않아 군의원에 출마할 예비후보들이 선거사무소 개소 날짜를 잡지 못하고 있다. 또 선거사무소 계약을 미루고 있거나 예비후보 선거공보물 제작의뢰도 늦추고 있다.
군의원 가선거구 모 예비후보는 선거사무소 임대를 이야기해 둔 상태지만 선거구 획정 때문에 계약을 미루고 있다고 말했고 또 다른 예비후보는 선거사무소 개소 날짜를 잡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예비후보 선거홍보물 제작을 미루고 있다는 모 예비후보는 선거구 획정이 결정돼야 선거운동 범위도 정해지고 그에 따른 공약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한 선거구에서 2명 이상이 아닌 최소 3명 이상의 기초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 도입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의 갈등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 민주당 측은 다당제 정치개혁을 목표로 중대선거구제 도입을 주장하는 한편 국민의힘은 사전에 합의되지 않은 사안이라며 이에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의견 차이로 지난 3월24일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합의에 실패해 이를 소위원회에 회부한 상태다. 
민주당 박홍근 신임 원내대표는 “대선 때 약속한 중대선거구제 도입 의지를 밝히며 4월5일 임시회 본회의가 마지노선”이라며 강하게 정치개혁 의지를 밝히고 있는 상태이다. 
여야합의로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이 최소 3인 이상 뽑는 중대선거구로 바뀌면 현재 4개 선거구로 나눠져 있는 해남기초의원 선거구는 3개로 축소되게 된다.   
현재 예상되는 선거구를 보면 가선거구는 해남읍·옥천·계곡, 나선거구 마산·산이·황산·문내·화원, 다선거구 삼산·화산·현산·송지·북평·북일로 나눠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음주까지 선거구 획정이 결정나지 않으면 6·1지방선거는 종전 방식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선거구획정이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군의원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은 시작됐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