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비례대표가 국회의원 사모 수행비서로 전락했다. 
이러한 관행은 비례대표 탄생 때부터 생기더니 이제는 당연히 해야 하는 행위로 굳어버렸다.
한때 군수 사모 수행을 군 공직자들이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것이 사회적 문제가 되자 일반인이 수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군의회 비례대표도 공직자다. 그러기에 국가에서 월급을 준다. 또 비례대표도 정당 투표를 통해 선출되는 직이기에 공인이다. 따라서 군의원 비례대표가 국회의원 사모의 수행비서가 된다는 것은 전 근대적 권위적인 사회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그 어떤 법에도 정당의 당헌에도 비례대표가 사모를 수행한다는 규정은 없다. 또 국회의원 사모는 의전을 받아야 할 대상이 아니다. 
각종 행사장에 가면 군수 사모와 국회의원 사모를 소개시키곤 한다. 그것도 맞지 않다. 그들의 역할은 남편을 내조하는 것이지 군수 및 국회의원을 대신하는 직이 아니다.
물론 행사 성격에 따라 군수 및 국회의원 내외를 함께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모든 행사에 이 같은 일이 반복돼선 안된다. 
또 각종 행사장에 국회의원 사모와 군수 사모 등이 온다. 군민들과 호흡하기 위해, 정서적 호흡을 하기 위해 오는 자리라 생각하기에 반길 일이다. 또 수행하는 이와 함께 오는 것도 자유이다. 다만 수행비서가 공인이 돼선 안된다는 것이다. 특히 비례대표 군의원의 국회의원 사모 수행은 맞지 많다. 
민주당의 군의회 비례대표는 일찍부터 사모의 수행비서에서 시작됐다. 우습게도 비례대표의 당의 기여도도 사모 수행에서 얻어진다. 
비례대표 제도를 둔 것은 여성들의 정치진출, 의회의 전문성 확장을 위해서다. 그런데 민주당 여성 비례대표는 해남여성을 대표하는 자리가 아닌 국회의원 사모의 비서를 뽑는 자리로 전락했다. 민주당도, 비례대표 출마예정자들도, 사모도 그것을 너무도 당연히 받아들인다. 
누가 국회의원 사모에게 비례대표의 의전을 받을 권한을 줬을까. 21세기에 이러한 일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참 우습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