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론은 2015년 일본의 마스다 히로야에 의해 처음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는데 젊은 인구가 대도시로 몰리고 출산율의 저조가 지방을 소멸시킨다는 논리다. 
그러나 마스다의 논리처럼 인구 재생산력 저하가 지방소멸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다.
지방소멸지수가 가장 높은 경북 의성군의 출산율은 1.60명, 지방소멸지수 8위의 전남 신안군의 출산율은 14위를 차지하는 등 소멸 위험성 상위 20개 지역의 출산율은 전국 50위권 내에 11개나 포함돼 있다.  
산업연구원도 지방소멸의 주요 요인을 지역 간 인구이동을 유발하는 지역경제 선순환 매커니즘에 있다고 말한다. 이를 토대로 k-지방소멸지수도 발표했다. 아쉽게도 k-지방소멸지수에 해남은 228개 시군구 중 상당히 높은 위험도를 보이고 있다.
실제 수도권은 전국 면적 대비 11.8%에서 인구 88.2%를 집어 삼키는 기형적인 형태로 자리하고 있다. 지방이 소멸을 걱정할 때 수도권은 비정상적인 부동산, 주택, 취직 경쟁 등 과밀화로 인해 각종 사회적 문제가 돌출되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수도권의 이 같은 문제는 지방이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이기도 하다. 값싼 부동산과 인구대비 예산, 1:1 청년정책 등 활동인구 감소에 따른 이점을 살리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장 많은 유출을 보이는 청년인구는 곧 해남군의 소멸시기를 결정하는 핵심이다.
민선8기 들어 청년과 아이들에 대한 정책과 지원이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청년들에게서 ‘해남, 살만하다’ 이 한마디를 얻어내는 것이 지금 해남의 가장 큰 숙제인 것이다. 
지방소멸의 근본적인 원인을 출산율 저하가 아닌 인구 유출에서 답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또 새로운 사업의 개발보단 1차 산업의 고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