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개인의 일탈, 이때 해남군의회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박종부 의원이 다시 논쟁의 중심에 섰다. 정작 본인은 진실이 호도됐다고 항의하지만 문제는 논쟁의 중심에 섰던 것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데 있다.
지난해 6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재선에 성공한 박종부 의원은 재임 6년 동안 수차례 갈등 요소를 빚었다.
첫 갈등은 2019년에 임시회에서 업무보고 이후 자신과 다른 의견을 제시한 의원에게 욕설과 폭언을 한 것이 알려지면서 지방의회의 권위를 실추시켰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또 2020년에는 특별위원장 선출 과정서 묵은 감정싸움을 일으켜 쌍방 간 막말과 욕설이 오가면서 해남군의회 윤리위원회에 회부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삼산면민의 날 행사 때 윤재갑 국회의원과 막말이 오가면서 삼산면민에게 공식사과하는 일도 일어났다.
그리고 반년이 채 지나지 않아 다시 폭행 논란이 발생했다.
공직자도 사람이기에 실수할 수 있다. 또 숱한 사람들과 갈등도 빚을 수 있다. 또 억울하겠지만 갈등 발생 원인이 자신이 아닌 상대방 때문에 비롯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갈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조정할 갈등조정의 힘은 공직자로서 가춰야할 덕목이다. 갈등을 키우고 이를 더욱 확장시키는 것은 결코 공인으로서, 정치인으로 맞지 않다. 특히 일정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다면 그 갈등은 개인간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선진사회로 나아가는 것은 다양한 부분에서 약진해야 하지만 우리사회의 갈등조정의 힘도 한 몫을 한다. 그러기에 갈등조정에 대한 조례도 생기는 것이다.
박종부 의원 개인으로선 억울하다고 항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의원의 책무와 덕목에선 분명 벗어났다. 초선도 아닌 재선의원으로서 의정경험이 쌓이는 것 만큼 덕목도, 갈등조정의 힘도 쌓여야 한다. 이와 함께 해남군의회도 의원들의 일탈에 대해 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동시켜야 한다. 의원 개인의 일탈이라 치부하는 것은 해남군의회 질을 스스로 낮추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 기자명 해남우리신문
- 입력 2023.04.17 17:0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