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조수 포획 허가가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가장 많은 농작물 피해를 주고 있다는 멧돼지 개체수가 매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전국의 멧돼지 평균 서식밀도는 1998년 100㏊(㎢)당 5.3마리에서 2009년 3.7마리로 꾸준히 줄어들고 있고 이중 전남도의 멧돼지 서식 밀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역의 엽사들과 야생동물 보호단체들에 의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지역 엽사들에 따르면 멧돼지 발자국이나 멧돼지 출몰 지역을 보면 멧돼지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멧돼지 포획 허가를 받아 구제에 나서고 있지만 실제로 포획까지 이뤄지는 것이 멧돼지 감소 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멧돼지 개체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정작 농민 피해는 늘어나고 있는 기현상도 빚어지고 있다.
멧돼지 서식 밀도는 100ha 당 3~5마리가 적정 수준인데 전남도의 경우 2배 이상 높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멧돼지 개체수가 감소하는 반면 서식 밀도가 높아지다 보니 한 지역만 집중적으로 피해를 주는 멧돼지의 특성상 농가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마산면의 한 농가는 멧돼지 때문에 밭에 심어놓은 고구마를 절반 이상 망쳤다며 3개 필지의 고구마 밭이 있는데 유독 한 곳의 밭만 파헤쳐 놓고 있다고 말했다.
멧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포획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포획보다는 특정지역에 몰려들고 있는 멧돼지 피해를 막기 위해 차양과 그물, 전기펜스를 이용한 퇴치 방법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농작물 피해를 입은 농민들에게 보다 현실적인 지원을 통해 농민과 멧돼지가 공존할 수 있는 토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희중 기자/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