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이 드디어 주차단속에 나선다. 차량 순회나 고정형 단속 카메라가 아닌 공공근로 인력을 투입해 낮시간에 직접 단속하는 방식이다. 
매일시장 인근 도로는 많은 상권이 밀집해 있음에도 군민들이 왕래가 갈수록 줄었다. 
이는 대형마트와 같이 상시 주차 가능한 공간이 없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오죽하면 군민들 사이에서는 ‘주차할 곳 찾느라 빙빙 도느니 처음부터 마트로 가는게 속이 편하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그동안 해남군은 일부 구간이라도 방문객의 공간을 확보해달라는 군민들의 요구를 ‘인근 주민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방치해왔다. 단속 자체가 없다보니 그야말고 무법천지다, 상가 앞에 개인물건을 적치하면서까지 주차면을 점거하는 등 공공의 개념은 사라지고 사유화가 시작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축상가도 신축 주택도 주차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었다. 경·소형차를 포함한 전 차종에 대해 자동차 주차장 확보를 의무화하는 차고지증명제가 시행 중인 지자체가 있는가 반면 해남군은 개인 주차공간 확보의 의무를 공공재에 떠넘기는 그릇된 의식마저 자리했다. 
주차단속이 시작되면 큰 혼란이 예상되기도 한다. 그동안 행정이 재역활을 하지 못하면서 누렸던 편의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상권 활성화만큼 홍역이 예상되는 이유다. 풍선효과를 걱정하는 의견도 많다. 그 ‘많던 상시주차 대체 어디로 가야하는가’하는 문제를 놓고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벌어진 것. 하지만 해남군의 주차 의식을 보자. 개인의 편의를 위해서는 교차 통행도 무시한 채 도로 한가운데 차량을 정차하고 볼일을 보는 이들이 넘쳐난다. 뒤에 빵빵거리던, 중앙선을 넘어서 가던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 불과 10m 앞에 주차공간이 있음에도 벌어지는 일들이다. 
지금 해남군의 교통문화 수준은 결코 높지 않다. 장기적인 측면에서라도 상시주차단속과 더불어 삐딱주차, 코너주차, 교차통행을 방해하는 일시정차 등도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한 교통문화가 정립된 뒤에 적재적소에 유동량을 파악하고 상시주차 공간을 마련해도 늦지 않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