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에 갈등에 관한 지역 내 첫 토론이 있었다. 이해관계가 복잡해 누구도 건들지 않던 사안이었다. 
그동안 무수하게 꼬인 실타래를 풀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토론과 공감, 양보와 타협이 있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그만큼 쉽지 않은 문제기에 찬반이 아닌 이해의 방향으로 토론회가 진행됐다. 
질의 시간에 내사리의 태양광 관련 갈등 민원이 제기됐지만 사회자는 민원성 발언을 지양해 줄 것을 주문하고 향후 갈등 해소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집중해줄 것을 당부했다. 
뒤이어 해남태양광발전사업자협회 관계자가 주최 측에 발언 시간을 요구했다. 과거 태양광사업자들에게 이격거리 제한 등 개정된 조례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이를 해결해줄 것과 농업보단 소득이 높은 태양광에 집중해 군민 모두 잘 살 수 있는 권리를 찾아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주민청원 조례발의에 대한 농민회의 찬반 의견을 물었다. 농민회 회장이 사회를 맡았기에 농민회가 ‘왜 태양광을 줄기차게 반대하다 왜 이제 와서 찬성의 움직임을 보이느냐’는 등 철저히 찬반의 입장을 되물었고, 대안을 제시하기보단 단체의 입장만을 강조했다. 
앞서 한해광 발제자는 정주권과 주민 상생에 대한 공감이 우선시 돼야 하는 것이 ‘착한 태양광발전’이고 이와 먼 것은 ‘나쁜 태양광발전’이라 구분하며 해남의 신재생에너지지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해남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 공익적인 방안을 찾는 것이다. 
또다시 신재생에너지 갈등 문제를 찬반이라는 혼란 속에서 풀어내려는 움직임에 일부 참여자들은 고개를 저었다.
태양광발전 시설이 해남에 들어온 지 20년, 충분히 주민들과 또 농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도 시간도 많았지만 정부의 권장사업이라는 비호 아래 파괴에 가까웠던 것이 해남군민이 느끼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서다. 그리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갈등의 원인이다. 
문제해결 첫걸음은 무조건적인 찬반 논리가 아니다. 햇빛과 바람의 공익적 접근, 개인보다는 해남의 에너지 정책에서 함께 풀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