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의회가 해남군이 제출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놓고 대대적인 손질을 해버렸다.
군의회가 초강수를 두고 삭감해 버린 예산안 중에는 군의회가 이미 사업승인을 해준 대규모적인 사업이 포함돼 있었다. 
해남군의회는 관례적으로 공모사업 또는 국비 및 도비가 포함된 예산은 대부분 승인해줬다. 예산삭감 후에 올 후폭풍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승인해준 예산도 많았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다르다. 이미 해남군의회의 사업승인을 받아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물론 국비가 투입되고 공무원들의 노력으로 공모사업을 따 왔다고 해도 과연 이것이 해남군에 꼭 필요한지에 대한 심의 및 승인은 해남군의회의 임무이자 역할이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해남군의회의 역할이 해남군을 혼란 또는 흔들어 버릴 수 있다는 무게감의 확인이었다. 그만큼 해남군의 각종 사업의 승인과정에서부터 신중한 검토와 결정이 뒤따라야 했다는 것이다. 
또 각종 사업의 승인은 군의원들의 넓은 시야와 다양한 지식을 더 요구받게 된다. 이러한 바탕이 서지 않은 상태에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해남군의 후퇴마저 가져올 수 있다.  
국가공모사업을 군정 최대 목표로 삼고 있는 해남군은 이번 추경으로 인해 김이 빠진 상태다.
각종 공모사업은 공무원들의 펜이 아닌 용역업체의 펜이 작동한다. 
용역비 투입부터 시작해 따 오는 것이 국비이다. 그러나 이젠 공모사업이 과연 타당한지부터 살펴야 할 입장에 처하게 됐다. 
이번 군의회의 국비사업에 대한 예산삭감은 해남군이 앞으로 각종 공모사업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군의회도 사업승인부터 철저히 검토해 결정해야 한다는 과제 또한 안게 됐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작두 위에서 칼춤을 추는 일이 반복해서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