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농협 문병환 조합장
농민접근 가능토록 안내필요

해남군은 ‘제4회 재생에너지와 해남 미래발전 포럼’를 통해 영농형태양광의 운영사례를 소개했다.
해남군은 ‘제4회 재생에너지와 해남 미래발전 포럼’를 통해 영농형태양광의 운영사례를 소개했다.

 

 해남군은 지난 3월13일 해남군청 2층 대회의실에서 마련한 ‘제4회 재생에너지와 해남 미래발전 포럼’에서 영농형태양광의 운영사례가 소개됐다.
해남에서도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문병환 보성농협 조합장은 국내에서 영농형태양광을 처음 시도한 이로 이미 4년 전 태양광 발전시설을 자신의 농지에 설치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문병환 조합장은 “왜 영농형태양광인지 묻는다면 농지로의 원상회복이 용이하고 지력 훼손이 적다는 점, 또 농업인의 경영 안정, 균형 있는 국토 환경 보전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며 “식량안보 문제와 더불어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적합한 신재생에너저지 정책이다”고 소개했다.   
그는 농지에 말뚝을 박는 스파이럴 공법으로 레미콘 타설 없이 구조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농지로의 원상 회복이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또 농지의 이용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 100W 기준 연간 1,433만원의 수입이 발생하며 벼의 경우 감수률 수준은 10~20% 정도로 과잉 농산물 생산조정과 쌀 가격 안정화에도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병환 조합장은 자신의 농지 650평에 99.7kw의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했는데 설치비용은 1억9,600만원, 연간 태양광 순소득은 1,920만원에 작물소득 141만원의 수익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설치비용이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고 여기에 태양광 패널의 효율성도 계속 높아지고 있어 지금은 더 큰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장점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영농형태양광 사업을 패키지해 대출업무 및 인허가 절차 등을 돕고 청년농 육성과 스마트제어기술을 도입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음도 지적했다.
문 조합장은 “이격거리 규제와 절대농지 규제를 완화해야 하고 영농형태양광의 경우 농업시설로 인정받지 못해 제약사항이 많다. 또 변전소 포화에 따른 한전 선로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 영농형태양광의 확산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박 모씨는 “기후변화와 농업생산률 감소로 농업이 갈수록 힘들어지면서 고정소득에 대한 농민들의 바람이 크다. 영농형태양광이 그 해법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 아직 판단할 순 없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