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성/해남우리신문 기자

 

 박종부 의원의 의원직 박탈, 항간에 주로 나도는 이야기는 민주당 소속 8명의 의원들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고 의회의 권리가 어디까지고 또 누가 주도했을까로 요약된다.  
당연히 민주당 8명 의원에 대한 지역사회의 눈초리도 따갑다. 가장 비민주적 요인으로 비판받는 의장단 선출방식을 교황식으로 밀어 붙인데 이어 동료 의원의 의원직 박탈까지 8명 의원의 호흡이 거침이 없기 때문이다.  
해남군의회의 중요 결정을 주도하고 있는 8명의 의원은 제22대 총선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윤재갑 의원을 지지했다. 반대로 민주당인 박종부, 무소속인 이성옥, 민경매 의원은 박지원 후보를 도왔다. 민주당 8명 의원들은 경선기간 박지원 후보에 대해 올드보이, 패거리 정치 등을 비판하며 불출마 요구, 민주당에 컷오프도 요구했었다.
경선이 끝나고 박지원 캠프쪽에서 함께하자며 손짓을 보냈을 때도 도의원 2명을 제외한 8명의 군의원은 참석하지 않았다. 
다음날 3월25일 8명의 군의원들은 박종부 의원 면직 건에 대해 사전 조율이라도 한 듯 일제히 찬성표를 던지며 같은 당 소속 의원의 정치적 생명을 끝냈다. 그리고 다음날 일제히 박지원 캠프를 방문, 화합을 논의했다.  
박종부 의원은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농어촌공사 부지에 건물을 짓고 외국인노동자 불법 파견, 그리고 폭행사건까지 선출직 공직자로서 당연히 비판받을 일을 했다. 그러한 일에 대해 군의회는 윤리특별위원회를 소집, 그에 합당한 벌을 내릴 수 있고 또 이는 의회의 권한이다. 문제는 박종부 의원의 의원면직 건은 폭행이라는 단일 건이다. 법원도 과거의 죄에 대해 참고는 하되 과거 죄를 소급하지 않는다. 단일 건에 대해서만 판결을 내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폭행사건과 관련해 의원면직이라는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 합당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또 의회는 사법 영역이 아닌 갈등을 조정하고 합의점을 도출하는 정치 행위의 정점인 공간이다. 그러한 정치영역인 군의회가 사법권이나 휘두를 수 있는 의원면직이라는 권한을 행사했다는데 있다. 따라서 주민들은 주민들이 선출한 의원을 의회에서 제명까지 할 수 있느냐고 비판한다. 죄를 지은 사람에게 응당한 벌을 내려야한다는데 모두 동의한다. 그러나 벌이 합당함을 넘었다고 생각할 때 민심 이반을 불러온다.  
현재 의원직에서 제명된 박종부 의원의 의원실은 폐쇄됐고 본회의장의 명패도, 군의회 홈페이지 의원 명단에서도 삭제됐다. 
민주당 8명의 군의원들은 의장단 선출방식을 교황식으로 후퇴시키며 군의회의 민주성을 철저히 짓밟았다. 이는 집단의 폭력성이다. 따라서 일부 군민들 내에선 후반기 원구성을 보면 누가 교황식선출방식을 이끌었는지, 박종부 의원의 면직건을 누가 주도면밀하게 주도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란 이야기가 나온다. 군의회는 군민을 대신하는 대의기관이다. 그런데 지금의 행태는 철저히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비밀스런 사조직 같다.      
3월28일부터 제22대 총선 공식 선거일이다. 그야말로 불편한 동거가 시작됐다. 그러나 이러한 불편한 동거도 후반기 원구성까지다. 후반기 원구성을 위해 의장단 선출방식까지 집단의 힘으로 바꿔버린 8명의 민주당 의원들, 후반기 원구성이 어떤 그림으로 나올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