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교통이 강진 성전방면, 영암 독천방면 버스운행을 중단하면서 주민들의 불편이 제기됐다.
해남군이 중재에 나서 해결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회사의 사정으로 노선이 중단되는 일, 과연 공영제에선 가능할까. 
북평면 남창터미널도 터미널 이용료 문제 때문에 터미널이 아닌 도로변에서 손님을 승하차한다. 
농어촌 대중교통은 불가피하게 적자운영이다. 또 적자폭을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기에 해남군의 지원액도 갈수록 는다. 또 문제가 생기면 군민들의 불편 때문에 군이 나서 해결해야 하고 그에 따른 예산도 군이 지불해야 하는 구조이다.
해남군은 1년에 50억원에 이른 예산을 해남교통에 지원한다. 민간이 운영하고 있지만 상당액의 예산을 해남군이 지원하는 구조이다.
50억원에 이른 지원액에 이어 대중교통의 서비스질을 높이기 위해 공영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 
이미 신안군을 비롯한 지자체들은 농어촌버스 공영제를 도입했고 그에 따라 서비스 질도 높아지고 있다.
또 농어촌 버스노선은 각 지자체간 협의를 통해 교통편의의 질을 높여야 한다. 해남군에 거주하지만 옆 지자체와 생활권으로 밀접하게 결합된 면이 많다. 화원면은 목포권, 북평 남창은 완도권, 마산면은 영암권, 옥천과 계곡은 강진 생활권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지자체간 버스노선의 협의를 통해 자유롭게 각 지역 버스들이 운행돼야 한다. 농어촌 주민들에게 교통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복지분야이다. 자유롭게 이동해야 세상과의 교류도, 문화의 질도, 소비로 인한 경제도 살아난다.    
해남군은 현재 대중교통과 관련 용역에 착수했다. 이번 기회에 공영버스제와 해남읍 순환버스 운행에 대한 비전이 나왔으면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