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3 지방선거
변화·혁신도 안개

 박지원 국회의원이 지난 6월15일 내년 6·3 지방선거 출마의향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민주당 경선을 군민들의 뜻에 맡기겠다고 밝혀 작은 파문이 일고 있다. 
이날 박지원 의원은 민주당 중앙당과 도당의 경선방식이 어떤 내용으로 나올지 지켜봐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본인은 경선을 군민들에게 맡기고 싶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발언에 대해 민주당 경선을 군민여론에 붙인다면 혁신과 변화와는 동떨어진 현역 중심의 경선 결과, 인지도가 높은 후보가 지지를 받는 결과가 나올 것이란 뒷이야기가 나온다.
또 지난해 4월 총선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박지원 의원을 지지해온 개국 공신들의 불만도 조금씩 불거지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위해 박지원 의원을 적극 지지했고 지금까지 모든 일정을 맞추고 있는데 공천을 군민여론 또는 경선에 맡기겠다는 발언을 이어오기 때문이다.
내년 지방선거에 민주당 경선방식에 관심이 더 높은 것은 민주당 경선이 본선이라는 선거구도가 더 공고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군수와 도의원 선거의 경우 민주당 경선 이후엔 무투표 당선으로 선거가 끝날 수 있기에 경선에 거는 기대가 더욱 크다. 군의원 선거도 진보당 출신 후보의 출마가 점쳐지는 가선거구(해남읍‧마산‧산이면)와 다선거구(현산‧북평‧송지면)를 제외한 선거구는 모두 민주당 출마예정자들 밖에 없다. 
그 어느 선거 때보다 민주당 쏠림 현상이 강하고 또 새로운 인물 진출이 적은 6‧3지방선거, 정치구단인 박지원 국회의원도 이러한 한계를 딛고 해남 정치계를 혁신하기엔 사실상 어려울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또 박지원 의원이 흘러가는 말처럼 군민경선제라는 이야기를 밝혔지만 민주당은 당원의 권리를 강화하는 당원 주권시대를 줄기차게 주창해 왔다.
특히 이번 민주당 당 대표에 출마한 정청래 의원은 당원 주권시대를 전면에 내걸었다. 대의원들의 할당 몫을 없애고 모든 당원들이 동일한 비율로 표를 행사하는 1인1표제를 내걸며 당원 영향력을 100% 반영하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또 민주당은 지난 6월13일 원내대표로 김병기 의원을 선출했는데 이때 처음으로 권리당원 투표 20%를 반영했다.
민주당은 또 이번 대선 후보 경선에서 그동안 진행해 왔던 완전 국민경선제를 포기하고 당원 50%, 국민여론조사 50%를 반영했다. 
민주당의 당원 주권시대는 지난 제21대 총선에서 당원들이 비명계 인사들을 대거 공천에서 탈락시키면서 힘을 발휘했다. 
민주당이 당원주권시대를 주창하고 있는 것은 권리당원 수가 150만명을 넘어섰고 당원들의 직접 참여 욕구도 그만큼 높아진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민주당 해남 당원수는 4,000~5,000여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내년 6‧3 지방선거 민주당 경선룰이 어떤 변화를 맞을지 궁금한 가운데 오는 8월까지 가입된 당원들까지만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8월 말까지 민주당 당원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