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면의 조용한 작은 섬마을이 인권 문제로 도마 위에 오르면서 발칵 뒤집어졌다.
화산면 상마리 김 양식에서 인권유린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제보에 따라 서울의 모 방송국과 장애인 권익연구소, 완도해양경찰서가 현장을 찾았다.
지난 10일 모 방송국은 이곳 김 양식장에서 임금체불 문제가 심각하고 지적 장애로 의심되는 인부들이 다소 포함돼 있어 인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방송을 내보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이 마을의 문제는 이곳에서 일하는 인부들의 임금체불이 가장 크지만 방송국 취재진의 주장은 김 양식장에서 일하는 인부 5명이 장애인 인권연구소와의 면담 결과 사리 분별이 안 되는 지적장애 의심환자라는 것이다.
이에 문제가 된 5명의 인부 중 1명은 가족들에게 신병이 인도됐고, 2명은 설득을 통해 섬에서 데리고 나온 상태다. 설득이 안 된 나머지 2명의 인부를 데리고 나오기 위해 모 방송국은 지난 13일 해남군 행정선과 복지사 등의 협조를 얻어 2차 취재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들 인부들과 함께 생활했던 상마마을 주민들은 너무하다는 반응이다.
문제가 되고 있는 인부들의 임금 체불 문제에 대해서는 어는 정도 수긍은 하지만 인권 유린이라는 말로 상마주민들을 매도한 듯한 방송국의 취재 태도에 문제를 삼고 있는 것.
상마마을의 한 주민은“솔직히 말해 서울 사람들과 이곳 지역민들의 인권을 바라보는 생각의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곳 주민들은 지금껏 아무런 문제없이 살아오고 있었다”며 “마치 마을민들이 방치하거나 동조한 듯한 취재진의 태도는 너무하다”고 볼멘소리를 했다.
특히 1차 방송국 취재에 동행한 익명의 관계자도“사소한 문제를 너무 자의적으로 크게 생각한 것 아니냐”는 등의 반응을 보여 일부 상마 주민들의 주장과 의견을 같이 하기도 했다.
이 같은 문제로 한 마을이 발칵 뒤집어졌지만 방송국과 함께 취재에 나섰던 치안당국은 약간의 임금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함께 동행한 것은 취재진 신변보호를 위해서지 인권문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말해 실제로 인권 유린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여부를 회피했다.
김희중 기자/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