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과 관련된 찬반논란이 서서히 수면위로 오를 조짐이다.
지금은 군민 대부분이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다음 주 중으로 찬반입장이 떠오를 전망이다.
어떤 사안을 놓고 활발한 찬반논쟁을 벌인다는 것은 민주시민 의식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자칫 논쟁이 격해질 때는 지역사회가 냉각되고 공동체가 무너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방폐장 유치를 놓고 극심한 찬반논쟁을 일으킨 부안군의 사례가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찬반논쟁으로 어제까지만해도 가까운 이웃이었던 주민들 간에 남남이 돼버린 부안군은 지금까지도 심각한 휴유증을 앓고 있다. 지역 공동체의 훼손은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찬성하는 입장이나 반대하는 입장 모두 이번 기회를 갈등 조정의 힘을 키우는 장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원전문제를 놓고 찬반 입장에 선 사람들을 만나보면 모두 논리의 시작을 지역사랑에서 출발하고 있다. 어찌보면 원전의 문제는 원전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에서 비롯된 측면일 수 있다.
찬성하는 입장에 선 사람들은 지역 경제의 이점을 주장한 반면 반대입장에선 원전의 피해와 해남이 원래 가지고 있는 자산을 살리는 방향으로, 청정해남을 지켜야 함을 강조한다.
찬반의 입장을 서로 경청할 필요성이 있다. 성급하게 상대방의 입장을 잘못된 것으로 치부해버릴 경우 우리는 위기를 기회로 삼은 즉 갈등을 통해 지역사회 조정의 힘을 키우는 기회를 놓쳐버릴 수 있다.
물론 원전 찬반에 대한 견해는 좁히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찬반을 주장하는 사회단체는 8만 군민을 생각해야 한다. 첨예화된 갈등의 모습이 아닌 자신의 견해를 설득하고 이해시키려는 자세는 단체의 정치력 뿐 아니라 정체성을 군민들 속에 확연히 심어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원전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이다.
또한 논쟁이 지역사회 분열로 나아갈 때는 행정이 조정하고 나서야 한다. 심각한 논쟁으로 지역사회가 분열되는 것보다는 처음부터 논쟁의 빌미를 없애 버리는 것이 낳다. 신안군 지자체장이 원전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발표한 것처럼 말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