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측 고리원전 견학, 안정성·경제성 홍보나서


한수원이 해남을 원전후보 유치 요청지역 선정발표와 함께 원전유치 찬반 양측의 입장이 공식화 되고 있다.
해남핵발전소반대대책협의회(준)는 지난달 29일 핵발전소 지정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핵발전소 반대를 공식화 했다.
반대대책협의회는 군민의 안전과 생활을 위협하는 핵발전소 후보지를 누구 맘대로 선정했냐며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한수원이 핵발전소 유치를 위해 경제적 지원과 혜택 등 각종 미끼를 내걸지 않으면 어느 곳도 유치신청지가 없다는 사실 만으로도 핵발전소의 위험성과 피해는 증명된다고 덧붙였다.
반대대책협의회는 농촌경제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농수산업 활로를 막아버릴 원전을 받아들일 순 없다며 원전유치는 보릿고개를 넘기기 힘들어 종자로 쓸 씨나락을 팔아먹는 우매한 행위와 같다고 주장했다.
반대대책협의회는 기자회견에 앞서 지난달 27일 영광원전 현지답사를 실시했으며 현지답사를 통해 한수원이 원전 유치시 약속한 경제적 혜택 등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남군 노인회와 번영회, 해남JC로 구성된 원전유치 위원회도 발기모임을 갖고 원전 유치를 위한 공식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조만간 다른 사회단체와 함께 범군민추진위원회를 결성해 대대적인 유치운동에 나설 방침이다.
찬성측은 지난달 26일과 27일 고리원전 방문, 원전의 안전성과 원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을 확인했다며 해남군민들도 원전에 대한 인식이 변해 유치를 지지하는 여론이 많은 편이다고 주장했다.
또 지역경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전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찬반측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많은 군민들은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황산지역 주민들의 여론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황산면민들 사이에선 원전부지 예상지인 외입리로부터 반경 10km까지 보상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나돌면서 원전유치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원전부지 보상과 관련해 한수원측은 보상범위 등 일체의 계획에 대해 결정된 바도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반해 원전유치를 반대하는 황산면 김모씨는 황산이 원전부지로 결정되더라도 현재 보상과 관련해 나돌고 있는 소문은 사실무근이라며 한수원이 반경 10km를 보상해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상범위도 한수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 측면에서 보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전유치 찬반위원회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가운데 양측모두 군민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홍보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박성기 기자/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