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농산물 정책은 그야말로 명쾌하다. 오르면 수입하고, 떨어지면 팔아주기 운동을 펼친다. 모든 피해는 농업인들에게로 돌아가고 만다. 근본적인 대처 방안이 아님은 자명하다. 축산과 관련된 단체에서는 올 연말 소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처럼 소고기 값이 떨어져 하루 100원을 손해보고 있는 실정이라면 심각하게 고민할 상황이다.
소는 주식투자처럼 사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사료 급이와 적절한 관리에 매일 고정 비용이 투입되어야만 한다. 소 값은 5년 주기로 내림세와 오름세가 반복이 된다고 하는데 가격이 낮은 시기에 사들였다가 오르는 시점에 그 시세 차익을 노리기에는 감내해야 할 시간과 비용이 너무 크다.
적정치를 초과한 100만 두에 대한 대책도 없는 상황에서 막연한 기대심리로 한우를 입식한다는 것은 한우 대란에 부채질을 하는 행위이다. 개인이 한우를 키우겠다는데 이를 막을 방법은 없다. 현시점에서는 기존의 축산 농가도 더 이상의 송아지 증식을 자제하고, 한우 입식 희망 농가도 자율적인 자제가 최우선이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