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농촌 정책이 갈팡질팡이다. 한 치 앞도 못 내다보는 농정으로 인해 그 피해는 농민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겨울만해도 배추값은 숫제 금값이었다. 정부는 물가 안정 차원이라면서 신속하게 중국산 배추를 사들여와 땜질 처방을 했다.
김장배추와 겨울배추 가격의 고공행진은 봄배추 가격의 하락 조짐을 이미 예고하고 있었다. 적정재배 면적에 대한 적극적인 계도가 선행됐어야 했다.
정보를 쥐고 있지 못하는 농민 입장에서는 가을배추와 겨울배추의 물량이 달렸으니 봄배추 수요가 늘 것이라는 판단 외에 봄배추 재배면적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는 입장이었다.  
애써 재배한 4500평의 배추를 갈아엎었다는 주창민씨와 같은 농민이 어디 한 둘이랴.
정부 폐기에 따른 지원이라도 기대를 했지만 그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가격 폭락으로 거래도 없는 실정에서 수확을 앞둔 배추를 바라보는 농민의 심정은 파랗게 멍이 들어가고 있을 것이다.
일이 터지고 난 뒤 사후약방문식의 대책보다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당장 정부의 안일한 농정으로 발생한 이번의 배추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도 소극적인 대책만으로 일관할 게 아니다.
상황을 지켜보며 결정하기에는 농촌의 일손이 하루하루 너무도 바쁘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해남군과 전남도는 농식품부의 처방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자체 폐기 이전에 서둘러 실태 파악에 나서고 정부를 상대로 해당 농민들의 구제를 촉구해야 한다.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농식품부의 방침은 지자체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서는 정부 폐기면적 확대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