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중 10월은 야외활동을 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명량대첩제를 비롯해 크고 작은 축제들이 10월의 주말에 자리를 잡고 있다. 지자체나 사회단체들이 기획한 축제가 한꺼번에 몰려있다 보니 어떤 축제를 선택해서 가야할 지 망설여진다.
관선에서 민선 시대로 옮겨오면서 각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축제를 기획하고 각 사회단체에도 이를 독려해 왔다. 축제가 많다는 것은 축복받을 일임에는 틀림없다. 현대 사회는 열심히 일한 만큼 잘 노는 것도 중요한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축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지역에서 축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고, 지역민들이 함께 할 자리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웃 군이 추진하고 있는 한 축제의 경우 “시끄럽다.”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등 주민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고 한다. 주객이 전도돼 정녕 누구를 위한 축제인지 생각해봐야 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는 비단 이웃 군만의 얘기가 아니다. 해남의 크고 작은 축제 또한 한번쯤 돌아볼 때가 됐다. 대부분 읍보다는 지역으로 들어가는 축제들이 많다.
그러나 읍 위주의 홍보가 대부분으로 현지 주민들에 대한 배려는 드물다. 소규모 축제는 해남을 대상으로 대규모 축제는 전국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홍보는 분명 외부를 향해야 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현지 주민에게 외면 받는 축제는 설 자리를 잃게 마련이다.
민예총의 공재문화제는 백포마을 주민, 해남윤씨 종친과 기획 단계부터 함께 하기 때문에 그들이 축제의 주인자격으로 참석을 하게 된다.
주최 측은 멍석을 깔아주고 모두가 하나 되는 대동 한마당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축제의 시기는 군이 각 단체와 자율적인 조정을 이끌어내 가급적 중복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축제란 단지 하루를 먹고 놀기 위함만은 아니다.
지역경제와 연결을 짓겠다는 것이 지자체가 기획하는 축제의 본래 의도일 것이다. 이를 분산해야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작은 축제를 통해 형성된 인프라는 대규모 축제의 성공으로 이어진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