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에 천부적인 소질을 가진 아명은 누나 차매와 소작농인 아버지와 함께 살아간다. 초등학교 4학년인 아명의 소원은 강 건너 보이는 앞산의 풍경을 여러 색깔로 그림에 담아보는 것이다. 그러나 아명에게는 종이와 크레용을 살 돈이 없을 만큼 가난과 힘겨운 농사일로 가득 차 있다.
차벌레를 과장해서 그린 그림, 달을 먹는 개, 팔려가는 돼지, 빨간 개 등에서 상상력과 솔직한 표현을 보여주는데, 새로 부임한 곽 선생님만 아명의 재능을 알아본다.
곽 선생님은 아명의 재능을 살리기 위해 애쓰지만, 돈과 권위와 고정 관념으로 가득 찬 현실은 이들을 외면한다. 돈과 권력을 가진 이장의 아들 임지홍이 선생님들의 투표에서 일방적으로 이겨 미술대회에 나가게 되는데, 그토록 꿈꾸던 미술대회에 나가지 못한 충격과 병으로 앓던 아명은 앞산과 강을 온통 붉은 색으로 그려놓고 숨을 거둔다. 곽선생님은 학교를 그만두면서 아명의 그림 한 점을 세계미술대회에 출품하여 대상을 받게 되었지만 아명이 죽은 뒤의 일이다.
▷ 배경지식
로빙화는 무엇을 상징할까요?
로빙화는 차밭에 심어 밑거름으로 쓰는 식물의 꽃이다. 로빙화는 한없는 엄마의 사랑과 일찍 죽어간 아명을 상징하기도 한다.
아명의 집은 왜 외딴 곳에 있을까요?
1949년 마오쩌뚱에 밀려 장
박태정기자의 영화 깊이보기
로·빙·화제스가 대만으로 옮겨오는데, 대만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은 도시에서 밀려나 외딴 곳에 살게 되었다. 사회에서 소외받게 된 원주민들은 가난과 노동 질병에 허덕일 수밖에 없었다. 아명의 가족이 처한 현실은 대만 사회의 모습을 함축하고 있다.
곽 선생님은 왜 아명의 그림을 더 높이 평가할까요?
사진과 같이 그려내는 임지홍이 뽑히는 것은 대만사회가 개인의 독창성과 개성이 허용되지 않는 전체주의 사회라는 것을 말한다. 아명과 임지홍의 대립은 개인의 다양성과 전체주의 간의 대립을 의미한다. 곽 선생님은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아명의 그림을 더 높이 평가한다.
아명이 죽으면서 빨갛게 그린 그림은 무엇을 나타낼까요?
실제 현실과는 다른 밝고 희망찬 세계를 담고 싶었을 것이다. 생명이 꺼져가는 상황에서 밝음에 대한 바람은 더욱 강렬해져 온통 빨간색으로 가득한 강과 산을 그리게 되었을 것이다.
▷ 마무리
감독은 아명의 죽음을 통해 독창성이 상실된 전체주의사회 대만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아명의 그림은 인상주의 화가의 그림을 떠올리게 한다. 고흐, 모네, 마네, 세잔 등이 속한 인상주의는 자연을 하나의 색채 현상으로 보고 빛과 함께 시시각각으로 움직이는 색채의 미묘한 변화를 좇아 자연을 묘사하는 방식이다. 인상주의와 결부시켜 이해하는 것도 영화를 더 깊이 보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