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까지도 서로 호형호제했던 사람들이 서로 반목하기에 이르렀고, 서로 관계가 없던 사람들도 일정한 선으로 편을 갈라 네편과 내편으로 가르기를 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원전 유치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마찬가지 현상이었다. 그러나 원전 때와는 다른 변수가 작용하고 있다. 유치위 측이 1000억원이란 돈을 업체 측으로부터 약속어음으로 받아 화원관내 거주자에 한해 한 가구당 5000만원씩 균등 분배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애초 화력발전소 문제는 환경에 얼마나 영향을 주느냐와 지역경제 기여도가 핵심 문제였다. 가구당 50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하는 것은 결국 돈으로 지역의 민심을 사겠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하루 앞을 내다보기 힘들 정도로 화력발전소와 관련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연일 벌어지고 있다. 얼마나 지역 사회가 갈등의 골이 깊어져야 상황이 끝이 날지 암담하기만 하다. 반대대책위 측에서는 10일 군민결의대회를 통해 의견을 결집하고 2300여 화원 주민들의 반대서명지를 군과 군의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인근 지자체에서도 이 대회에 참가해 반대의 뜻을 분명히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군의회는 소위원회를 통해 정보를 모으고 있다고만 밝히고 그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남군 전체가 이렇게 갈등의 골이 깊어가는데 군의회의 역할은 너무도 안일하고 무기력한 상황이다.
도대체 지역사회가 얼마만큼 할퀴어지고 갈라져야 결론을 내릴 것인가. 군민의 대의 기관인 군의회가 취해야 할 입장은 자명하다.
4월 총선을 앞둔 예비 후보들도 해남의 미래를 위해 출사표를 던졌다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할 때이다. 자신의 신념도 없이 이리저리 인맥과 정당의 정책에 흔들리는 무소신으로는 해남의 미래를 책임질 수 없다.
해남에 대한 장기적인 청사진 없이 그때그때 외부의 제안에 의해 만들어지는 임기응변 식의 절름발이 정책이다.
결국 해남의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은 해남땅에 발을 붙이고 사는 사람이지 산타처럼 선물을 들고 오는 사람이 아니다.
이미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그러나 지금이라도 갈등은 끝내야 한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