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의 원전 유치와는 달리 화력발전소 유치 문제는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애초 반대측 여론이 높아 싱거운 게임이 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유치위측이 1000억원의 발전기금으로 화원지역 세대당 5000만원을 균등 분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유치위측도 힘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력발전소 유치 문제는 이제 화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근 지자체의 문제로도 확대되고 있다. 지자체간 마찰을 우려한 도지사는 반대의 뜻을 표명했고, 신안은 화원 화력발전소 반대대책위를 지원하는 내용의 조례안을 통과시켰으며, 진도군 또한 부군수가 대책위 단장을 맡기에 이르렀다.
해남군반대대책위에서는 3월 2일 차량시위와 3월 6일 지식경제부와 민주통합당 등을 항의 방문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찬성측이나 반대측이나 모두 해남을 위해 뛰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심치 않는다. 다만 끝없이 이어질 찬반간의 대립으로 지역사회 갈등이 예고되고 있는데, 이를 감내해가면서 화력발전소를 유치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환경피해에는 눈을 감자고 말한다. 2005년 방폐장 유치문제로 영광은 크나큰 내홍을 겪었다. 원전관련 각종 집회와 시위는 2003년을 전후로 3년간 66회, 317일, 주민 76,300여명이 참가했으며 전경 또한, 20,000여명이 출동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따른 행정력 또한 막대하여 평시 군 행정력의 20% 정도가 원전관련 업무에 투입됐다고 김봉열 전 영광군수는 밝혔다.
2004년 실익 없는 원전 납부 지방세로 인해 재정자립도가 상승함에 따라 연간 30억원씩 지원되는 낙후지역 지원금도 전남 17개 군 단위 중 영광군만 제외되는 경험을 했다고 밝혔다.
김 전군수는 원전을 들여 잘 살게 됐다면 방폐장까지 유치하자는 의견이 또 나오겠냐며 현재도 진행 중인 영광의 갈등은 원전이 폐기되는 40년의 세월 흘러야 가능할 것이라며 유치 포기 호소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화력발전소의 수명은 30년이다. 30년 내내 해남을 갈등의 소용돌이로 몰아갈 생각인가. 박철환 군수는 유치 포기와 함께 군민 화합을 위해 매진할 때이다. 이제 다시는 지역 갈등의 불씨를 끌어들이지 말아야 한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