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5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총선은 후보를 가릴 뚜렷한 이슈가 없어 아쉽다.
물론 각 후보마다 공보물을 통해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만 소지역주의와 맞물린 후보단일화 등으로 정책선거는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번 선거와 관련해 투표율 저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투표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정치발전의 최선책이다. 또한 선거에서 후보 선택은 최선이 아닌 차선이다. 물론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후보가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즐거운 선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선거역사상 많은 유권자를 만족시킬만한 후보가 얼마나 됐겠는가. 또한 다양한 유권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후보가 있겠는가이다.
따라서 선거에서 선택후보는 최선이 아닌 차선의 후보라는 말이 있다. 여러 후보들 중 조금 나은 후보를 선택하는 것은 정치발전으로 이어진다. 선거 냉소주의와 기권은 정치발전을 더디게 한다.
지금 해남지역에선 해남물감자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물감자를 넘어 풋나락이라는 말도 나온다. 물감자니 풋나락이라는 말은 해남의 넉넉한 인심을 말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자조적인 말로 대변되고 있다.
그동안 각종 선거에서 해남 유권자들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 11대 총선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육지에서 유일하게 야당후보 2명을 배출한 이력이 있고 2대 지방선거에선 무소속 후보들을 전원 당선시킨 경험도 있다. 그동안 각종 선거를 분석해 보면 해남유권자들의 표심은 최선의 후보가 없으면 차선의 후보를 선택해 진출시키려는 노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항상 시대흐름을 대변했다.  
4․11총선과 관련해 해남출신 후보단일화에 가장 큰 관심이 쏠렸던 게 사실이다. 해남출신 단일화에 관심을 갖는 것은 우리지역 출신을 뽑자는 정서적 표출도 크지만 화력으로 불거진 지자체장에 대한 민심 이반도 크다.
그러한 이반이 현재의 지자체장을 공천한 현 국회의원에게 쏠리고 있는 것이다. 군민들 내에서는 국회의원의 역할 중 지역민들이 가장 피부로 느껴지는 부분이 지자체장과 기초의원의 공천권이라고 말한다. 누가 지자체장에 선출되느냐에 따라 지역의 발전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군민 정서는 이후 선출될 국회의원의 지자체장 공천관심으로 쏠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슈가 없는 선거, 그러나 기권은 안된다. 소지역주의도 안된다. 인물을 선택해야하고 우리지역 발전을 위해 조금 더 나은 후보에게 투표권을 행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