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간다. 서로가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영향을 미친다.
모든 것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대헝마트의 지역진입을 막고 골목상권을 보호하려는 것도 8만 군민이 하나의 유기체로 살고자 하기 때문이다. 골목상권이 죽는다는 것은 지역의 소비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골목상권을 지키는 이도 지역민이고 이들 또한 또 하나의 소비주체다. 소비주체가 감소한다는 것은 지역상권의 위기를 초래한다.
해남농협과 해남축협이 마트신축에 나섰다. 단순히 경제로 논리로 본다면 지역에 큰 마트가 들어서면 상품을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골목상권의 희생을 뜻한다. 부의 편중을 의미한다.
축협과 농협은 하나로마트 신축과 함께 지역골목상권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지역골목 상권을 위해 월 몇회 마트 문을 닫는다는 등의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축협과 농협은 공공성을 띤 기관이기에 지역상생을 고민해야 한다.
또한 마트신축과 함께 지역농산물의 유통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일본은 철저히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운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우리군도 이러한 지산지소 운동이 펼쳐져야 한다. 지산지소 운동은 농민을 지키고 지역을 지키고 건강을 지키는 운동이다.  
당연히 축협과 농협은 마트를 통해 지역 농수축산물을 어떻게 유통시키고 생산자 조직을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한다. 물론 몇 개 품목에 대해선 해남의 것을 취급하리라 본다. 그러나  해남의 유통구조를 변화시키려는 큰 틀에서 마트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마트를 통해 경영수익을 올리려고 한다면 개인이 운영하는 마트와 다를 바가 없다. 당연히 농협과 농협의 마트는 지역생산기반 위에서 운영돼야 하고 그 속에서 마트신축 계획이 나와야 한다.
두 마트를 통해 해남의 농축업 생산기반이 달라지고 유통이 변화하고 지역 농수산물이 현지에서 소모되는 것을 바라는 것은 욕심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아쉽다. 해남축협과 해남농협이 마트 신축을 밝히기 전에 이러한 계획을 준비하고 발표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