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회사측에 지원하는 20억원은 군민들이 낸 세금이다. 당연히 군민들은 결항에 대한 비판할 자격이 있다.
해남교통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해남군은 어찌할 바를 모른다. 회사측에서 경영악화 이유를 드니 할 말도 없다. 이유는 해남군이 매년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회사측으로부터 정산서류 외엔 그 이상의 권한이 군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식 선에서 접근해 보자.
매년 해남군이 20억원을 지원한다면 당연히 경영악화 이유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 군내버스 운항에 따른 실지 경비가 그렇게 많이 드는 것인지, 임직원들의 임금 액수가 너무 높은 것인지 그 원인을 알아야 한다.
만약 경영악화 이유가 운행에 따른 실지 경비 때문이라면 당연히 해남군의 지원 금액은 더 늘어나야 한다. 그러나 전제 조건으로 회사의 경영 문제를 군과 군민이 알아야 한다. 예산을 지원받는다는 것은 군내버스가 공익적인 성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익적이라는 의미는 군민에게도 결행의 원인을 밝혀야 한다는 의미이다.
회사의 입장에선 정말로 어려운데 왜 자꾸만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느냐고 항변할 수 있다. 그러나 진정으로 해남교통이 해남군민들로부터 사랑 받고 신뢰를 얻기 위해선 경영의 투명성이 먼저이다.
해남군도 해남교통의 경영악화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군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해남군과 해남교통이 함께 경영진단을 해야한다. 그러한 것이 전제되지 않는 상황에서 예산지원이 늘어나는 것은 군민들로부터 더 큰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해남교통은 해남군민들의 발 노릇을 해온 해남의 대중교통이다. 농촌인구의 감소로 어쩔 땐 손님 없이 텅 빈 버스를 운행할 때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노고를 해남군민들은 안다. 경영악화 원인을 충분히 납득한다면 군민들이 나서 지원액을 늘리자고 아우성일 것이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