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거는 「한 표의 주권」을 행사하여 지난 5년간을 평가한다는 제1차적 의의와 함께 역사의 갈림길에서 스스로 활로를 개척하려는 중대한 결의의 날이다.
무엇보다도 4천52만6천767명의 전유권자가 누구를 택하든 어느 정당에 다음정권을 맡기든 그것은 오로지 국민의 한 표가 결정하는 것이다.
그 한 표는 주권자라 일컬어지는 국민개개인이 그 누구에게서 간섭당하지 않고, 위협당하지 않고, 금품에 유혹당하지 않는 문자 그대로 깨끗한 한 표라야 한다.
첫째로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공명선거 없이 민주정치는 기약할 수 없다는 것과, 둘째는 그 공명선거는 끝내 유권자 각자가 수호하고 실천해야 하며 셋째로 투표권행사의 기권은 스스로 민주주의적 국민의 자격을 포기하는 행위와 다름없다는 것과, 넷째는 어떠한 권위(權威)에도 굴하지 않고 여하한 유인(誘引)에도 넘어가지 않으며, 오직 정의와 양심의 명하는 대로 자기 권리를 행사할 줄 아는데서 공명선거가 이룩되는 것이다.
오늘날 선거부정은 결코 선거법의 미비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며, 상호감시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만도 아니며 공무원들의 정치의식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선거부정의 가장 으뜸가는 원인은 다름 아닌 관권과 금권, 그리고 지역감정에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하겠다.
당선을 위해선 가능한 모든 방법과 힘, 그리고 지역감정을 동원하는 것이 여야를 통한 상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선거운동에 있어 관권과 금권을 이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고 큰 영향력을 미치게 하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선거가 민주정치의 토대인 동시에 완성이라는 진리도 이런데서 나온 것이다.
선거전(選擧戰)이 개시된 이래 공명선거에 영향을 끼칠 갖가지 일들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금번 투표에 임하는 유권자의 굳은 결의와 민주주의적 신조하나로 아무런 효험도 없는 도깨비장난에 그치고 말 것이며, 그 반대로 다소간이나마 어떤 영향을 받게 된다면 앞으로 이 나라 민주정치는 더욱 더 한 시련(試鍊)을 받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또 하나 중시해야 할 것은 선거의 기준일 것이다.
이번 선거는 다름 아닌 한 국가의 원수이며 집권자인 대통령을 뽑아내는 정중한 행사인 것이다.
여기서 개인의 지연(地緣)과 혈연(血緣)이나 금권 등의 이해관계가 작용되리라는 것은 상상도 할 수없는 것이지만 자칫하면 별반의 깊은 생각 없이 아무렇게나 대세를 좇은 선거행위는 없어야 한다.
이것이야 말로 가장 위험한 투표권 행사인 것이며, 다수를 중우시(衆愚視)하는 동서(東西)의 독재자들이 노리는 민주주의의 함정이기도 하다.
물론 투표에 즈음해서 고려할 선택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정치이념에서부터 도덕성과 전문성, 그리고 여당에 대해서는 집권 실적의 비판, 야당에 대해서는 선거공약과 그 공약을 뒷받침 할 만 한 후보자의 역량과 인격 등이 될 것이다.
선진국 민주사회에서는 자기생활환경을 현여당의 집권초의 그것과 세밀히 비교하여 조금이라도 나아졌으면 지지할 것이요, 나빠졌으면 반대하는 것이 원칙으로 하고 있다.
우리의 이번 대통령선거에 있어서도 이러한 선택의 기준이 중요한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그보다도, 첫째는 대통령후보자의 민주주의의 근본인 국민을 섬기는 자세에 대한 가치판단이 있어야 하고, 둘째로 청렴결백과 도덕성을 포함하여 말한 것은 반드시 실천이 뒤따라서 행동이 충성되어 믿을 수 있는 것, 셋째는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마인드와 민생에 대한 통찰력, 넷째로 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지식, 마지막으로 금후의 정치질서 쇄신에 대한 판단이 더욱 중대한 여건이 돼야 한다.
투표권행사의 기권은 아니라 하더라도 무가치한 표를 던져서도 안 된다.
이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버리는 행위이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