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자원에 어르신 경험 녹여
과거시험, 지게가락 공연 인기

전북 완주 두억행복드림마을은 전국에서 찾는 체험마을로 연간 5,000명~1만명이 전통체험, 농사체험 등을 즐긴다. (과거시험 체험, 지게가락 공연)
전북 완주 두억행복드림마을은 전국에서 찾는 체험마을로 연간 5,000명~1만명이 전통체험, 농사체험 등을 즐긴다. (과거시험 체험, 지게가락 공연)

 

 전북 완주 두억행복드림마을은 전국에서 찾는 체험마을이다. 체험마을을 준비하는 마을, 지자체, 기관뿐만 아니라 학교, 어린이집 등 다양한 곳에서 두억마을을 탐방하러 온다. 연간 5,000명~1만명이 두억마을에서 체험을 즐긴다. 
두억행복드림마을은 2009년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지정됐고 시설 보조를 받아 녹색체험관을 건립했다. 전국 대다수 체험마을들이 시설을 지은 후 1년 정도 반짝 체험마을을 운영하다 지속이 안 되면서 결국 건물만 남아 애물단지로 전락한다. 전국에서 롱런하는 체험마을은 많지 않다. 
두억마을이 전국에 소문난 체험마을이 되고, 11년째 롱런하는 비결은 마을주민들, 촌장, 사무장이 한마음으로 체험거리를 개발하며 서로를 파트너로 삼아 함께 운영해왔기 때문이다. 
2011년 박종배(64) 촌장과 최현주(52) 사무장은 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해 체험 개발에 본격 뛰어 들었다. 건물만 있지 아무런 기반이 없었던 마을에 박 촌장과 최 사무장은 밑바탕을 그렸고 마을주민들과 함께 체험거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마을주민들은 마을이 가지고 있는 자원에 집중해 체험을 개발했다. 깊고 아늑한 산골 마을, 자연 안에 어우러지는 두억마을에선 전통체험, 농사체험, 자연 등을 흠뻑 경험할 수 있다. 
두억마을은 밀양박씨 집성촌으로 우리나라 8대 명당터 중 하나로 꼽히는 곳이다. 밀양박씨 종친들은 소유 건물과 숲을 마을에서 사용하도록 내어놓았고 한옥과 넓은 잔디밭이 어우러진 밀양박씨 제실을 중심으로 여러 체험이 진행된다. 과거시험 체험, 전통놀이 등 다양한 체험이 이뤄지며 한옥숙박도 가능하다. 
최현주 사무장은 “넓은 잔디밭과 제실을 보면서 조선시대에 과거 시험장과 비슷하다는 아이디어를 얻어 과거시험 체험을 개발하게 됐는데 호응이 좋다”며 “체험객들이 선비 옷을 입고 과거시험을 치르는데 3행시, 4행시, 그림 그리기 등을 하고 특출난 이에게 장원급제도 내려준다”고 말했다. 
다양한 체험은 마을자원에 색다른 아이디어가 얹어지면서 탄생한다. 어르신들의 경험과 오랜 노하우도 전통체험을 개발하는 데 큰 몫을 한다. 
지푸라기를 활용한 허수아비 만들기 체험도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이어온 마을 체험거리다. 얼굴부터 몸통까지 지푸라기로 만들던 투박한 허수아비를 마을 어르신들과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클레이찰흙으로 얼굴을 만들고 색종이로 옷을 만들게 됐다. 볏짚을 꼬거나, 철사를 말아 만들어보기도 했지만 94세 어르신의 아이디어로 허수아비 옷을 만드는 방법으로, 현재는 체험료 3천원에 허수아비 만들기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마을 체험프로그램은 주민들이 직접 운영한다. 전문가 섭외 없이도 주민들이 직접 운영할 수 있어야 지속될 수 있다. 마을주민 10명이 전통놀이 지도사 교육을 받았고, 체험객이 100명 이상 와도 주민들은 완벽하게 진행한다. 
두억마을 주민들은 어릴 적 나무하러 다니면서 지게가락에 장단 맞추며 노래 불렀던 기억을 바탕으로 지게가락을 복원했다. 체험객들이 마을에 오면 지게가락을 선보이기도 해 두억마을에서만 만날 수 있는 진귀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체험거리가 있다. 농가레스토랑인 봉서농원의 참나무 숯불구이, 정이 넘치는 시골밥상을 푸짐하게 즐길 수 있다. 또 마을 명당터에서 소원을 빌면 이뤄진다는 명당터 밟기 체험, 농사체험, 떡메치기 체험, 활쏘기체험, 굴렁쇠 돌리기, 전통제기 만들기 등을 하고 있다. 
올해는 자연 속에서 쉼을 얻을 수 있는 숲 놀이터를 조성해 새로운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수생생물을 관찰하고, 숲 산책, 봉서계곡을 즐기는 그야말로 자연 속 놀이터다. 두억마을 체험은 계절에 따라 변동되며, 20~30여개의 체험이 상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조아름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