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반용 쌀로 세계시장 공략
CJ제일제당과 모내기 연시회
지구의 온난화로 이젠 해남에서 열대과일에 이어 동남아시아 쌀인 길쭉한 장립종 벼 재배가 올해부터 시작된다. 특히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세계 햇반 시장을 공략할 쌀이다. 품종개발은 대학, 재배는 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법인, 세계시장 공략은 CJ제일제당이 맡는다.
장립종 쌀은 태국, 인도 등 동남아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쌀알이 길쭉하고 가늘며 세계 쌀 유통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아시안푸드 확산과 쌀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들의 인구 증가로 해마다 10% 이상씩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해남군은 올 3월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한국농어촌공사, CJ제일제당, 옥천농협, 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 등 5개 기관·생산자단체·기업과 쌀 수출 산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규모 장립종 쌀 수출 전문생산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이어 군은 오늘 6월14일 현산면 고현리 일대에서 장립종 쌀 벼 모내기 현장 연시회를 연다. 연시회에는 농촌진흥청과 세종대학교, CJ제일제당, 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 농업인 등 50여명이 참여할 예정으로 장립종 벼 재배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해남군은 매년 20만톤 가량이 과잉 생산되고 있는 밥쌀의 수급조절을 위해 기존 밥쌀용 벼인 단립종 대신 장립종을 재배하는 수출용 전문단지를 조성해 국내 쌀 산업의 위기를 극복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올해 해남군은 시범사업 대상지 10ha를 포함해 총 26.6ha 규모의 실증단지를 조성해 재배 메뉴얼을 정립하고, CJ제일제당과 협력해 햇반 등 가공제품 개발을 마칠 예정이다.
또한 2026년까지 간척지를 활용해 400ha 규모로 생산단지를 확대하는 한편 국내 체류 외국인 등의 수요는 물론 수출을 통해 세계 장립종 쌀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기후변화 등으로 장립종의 재배가 가능한 지역이 확대되고 있고, 국내 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등 벼 품종육종 및 재배기술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만큼 한국의 농업 기술을 살려 고급 장립종 시장을 공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시회에 쓰일 벼는 세종대 산학협력단에서 개발해 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법인으로 기술 이전한 2개 품종을 포함, 국내육성 장립종 벼 4개 품종으로 한국의 기후와 생육조건에 맞는 실증 재배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