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원하지 않는 시설이 자꾸 해남을 기웃한다. 송지면의 군사시설에 이어 이번에는 사용후 남은 ‘핵연료’를 보관하기 위해 마산면 뜬섬에서 지질조사를 실시하다 지나가는 주민에게 발각된 대 사건이 일어났다. 
해남군도 땅을 빌려준 농어촌공사 영산강사업단도 모르는 일이었다. 
영상강사업단 측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임대 신청서를 작성할 당시부터 학술연구에 의한 토지 사용일 뿐, 핵과 관련된 어떠한 언지도 받지 못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신청서에는 핵과 관련된 어떠한 단어도 찾아볼 수 없다. 이에 해남군과 박지원 국회의원, 농어촌공사는 곧바로 대응에 나섰고 다음날 토지사용허가가 즉각 해지됐다. 
지질조사를 위한 컨테이너와 중장비도 모두 철수됐다. 
사건이 일단락된 듯 보이지만, 주민들은 이 사건을 단순 헤프닝으로 치부하기엔 농촌을 대하는 정부의 변함없는 태도가 씁쓸함을 넘어 치욕적이다며 입을 모은다. 
주민은 물론 해남군도 알지 못하도록 독단적으로 핵 관련 저장시설 지질조사를 진행하면서 기원제 현수막에는 떡하니 ‘핵저장’이라는 단어를 내건 것은 군민들의 의견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농촌 인구는 계속 감소해 지역소멸이 목전에 있는 상황이다. 반대로 포화상태에 이른 일부 도시는 토지면적의 한계점을 돌파하고자 주변을 집어삼키고 있다. 그 과정에서 문화와 관광 등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인프라는 도심으로 몰리고 있다. 이와 반대로 주민들의 삶을 저해하는 시설과 에너지 조달 발전시설은 농촌으로 향하는 불평등한 개발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농촌은 도시를 유지하기 위한 거점 수단이 아니다.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해 먼저 농민 삶부터 지속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지금의 농촌은 가뭄과 태풍, 폭우 등 이상기온에 따른 피해를 감당하기에도 팍팍한 삶이다. 
만약 사전에 발각되지 않고 핵 연료 시설에 적합하다는 지질조사 결과가 나왔다면 강제로 밀어붙일 심산이었을까.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