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이 대중교통 개선을 위한 용역 최종 발표를 오는 12월 말 진행한다. 지역 교통 정책의 전환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이유다. 
현재 해남군은 약 72억원의 예산을 들여 버스와 택시 운영 손실금을 보전하며 대중교통의 기본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인근 완도군과 영암군이 이미 1,000원 버스를 넘어 전면 무료화를 시행하며 이동권 확대에 한발 앞서간 점은 주목할 만하다.
완도군은 지난해부터, 영암군은 올해부터 버스를 무료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두 지역 모두 해남군보다 예산 규모가 소폭 작지만, 전면 무료화를 위해 추가로 약 10억원의 추가 예산을 투입했다. 이뿐만 아니라 벽지노선 증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노선 확인 및 버스 콜서비스 등 편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정책도 병행되고 있다. 대중교통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의 필수 복지개념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해남군은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교통 정책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동안 교통 정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온 전례를 떠올리면 우려도 크다. 해남군은 타 지역보다 지리적 여건이 넓고 대중교통의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개선보다는 급한 불 끄기식으로 근근이 체제를 유지해왔다. 
특히 삼산면과 옥천면, 북일면 주민들의 경우 고도리 장을 보기 위해 해남터미널에서 내려 다시 고도리 방향 버스를 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제기돼 왔다. 해남읍내 순환버스 문제도 꾸준히 제기돼 왔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 대안은 제시되지 못했다.
해남군은 수백억원에 이르는 각종 공모사업을 유치하고 있다. 그러나 군민들이 느끼는 체감은 낮다. 이유는 주민들의 삶과 직결된 공모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 용역 결과가 단순한 ‘계획’에 머물지 않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끄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해남군은 더이상 교통 정책의 후순위로 평가받지 않기 위해, 이제는 구체적이고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