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한 몰라 사용 놓쳐
통합관리 시스템 필요

 
          군민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각종 바우처 카드가 사용기한 문제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정부가 가계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바우처 카드는 한부모가정 지원 바우처, 교육수당 바우처, 기초생활 수급자 바우처, 문화누리카드, 분유바우처, 에너지바우처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각 바우처 카드의 사용기한이 제각각이라 사용자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카드마다 사용 종료일이 11월 중순에서 12월 말까지로 각 기한이 다르게 설정돼 있어 사용자들이 기한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지원금을 놓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상자는 기한이 지나면 소멸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행정의 안내 및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읍에 거주하는 A씨는 “12월 초에 학원비를 결제하려 카드를 사용했는데, 이미 사용기한이 12월5일로 종료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며 “카드 사용기한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카드를 발급받고 1년 동안 사용기록이 전무한 경우도 있다. 
B씨의 경우 “카드를 발급받고 연말에 갑자기 생각나 사용하려고 보니 이미 기한이 지나 있었다. 오랫동안 사용 내역이 없는 대상자에게 미리 알람이나 고지가 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각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바우처 카드를 관리하고 있다는 점이 다. 복지 지원 정책이 확대되면서 각종 바우처 카드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행정은 각 부서의 성격에 맞춰 별도로 카드를 발급하고 있어 통합 관리가 어렵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카드를 한눈에 파악하거나 사용기한을 알 수 없어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바우처 카드의 사용기한 통일뿐 아니라, 공통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민원서비스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바우처 카드의 사용기한 문제는 단순히 행정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혜택을 받는 군민들의 실생활과 직결되는 사안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이용자 중심의 정책을 마련하고, 바우처 카드가 군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개선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