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조 단위 투자
전문 인력 양성 시급

 산이 2-1 간척지에 505ha(153만평)에 이르는 대규모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가 조성된다. 예산규모만 1조원, 민간투자로 진행된다. 산이면 부동지구 간척지에도 대규모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가 논의 중이다. 또 명현관 군수는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다음 주 중 미국 출장을 떠난다.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기업의 이익논리에 주민들과 공생을 의미하는 햇빛공유제가 더해진다. 기업의 이익논리와 공공성을 모두 담아야 하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남군이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전문부서와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해남군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관리하기 위해 TF팀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TF팀은 팀장 1명과 직원 1명으로 구성, 사업 확대에 따른 행정적·기술적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반면, 신안군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과정에서부터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과장급 인력을 배치해 조직을 강화했다. 
1년 내지 2년마다 담당직원이 바뀌는 공무원 순환인사가 아닌 담당할 공무원을 발탁한 후 그 안에서 승진시키며 전문성을 높여낸 것이 신안군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성공을 불러왔다. 또 이를 통해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고 체계적인 관리도 가능했다. 
이에 비해 해남군은 임시 TF팀 운영 방식에 머물러 있고 특히 순환보직 인사를 단행하기에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는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독립 부서 신설과 전문 담당 직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단순한 인력 충원뿐 아니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다. 
현재 해남군은 외부 용역 및 전문가의 자문을 활용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사업 확대를 위해 서는 내부적으로 전문 인력 확보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기술적, 법적, 재정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높은 전문성이 요구된다. 단순히 행정적인 업무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 및 기업 운영까지 고려해야 하는 분야이기에 금융, 법률, 기술 전문가의 확보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향후 해남군이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식회사 및 펀드운영을 본격화할 경우, 이러한 전문가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진다. 또한 데이터센터 경우 수천억을 넘어 조단위의 민간투자를 이끌어내야 하는 사업이다. 
이에 해남군도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전담할 조직을 정식 부서로 개편하고, 공무원들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가 양성이 중요하게 떠올랐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