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은 2018년 민선7기 시작과 동시에 농업의 지속가능성, 농촌소멸을 막기 위해 전국 최초로 농민수당 지급을 결정했다. 농민수당 지급 결정으로 해남사랑상품권도 도입됐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주창하는 기본사회는 해남에서 농민수당이라는 이름으로 이미 진행되고 있다. 
기본사회란 복지를 넘어선 국민들이 누려야 할 권리를 의미한다. 그동안 우리의 복지는 생활이 어려운 이들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복지였다. 선별적 복지는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는 시혜적 관점이 크다. 
그러나 기본사회는 공공재원에서 발생하는 부의 분배를 의미하며 이는 시혜가 아닌 국민이 당연히 누릴 권리를 의미한다.      
해남군이 쏘아올린 농민수당은 현재 전국 지자체로 확대됐는데 이는 대한민국에 지역화폐 시대도 열었다. 농민수당은 농업이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닌 식량주권, 국가의 경관구조, 기후위기 대응 등 농업의 공공적 가치에 대한 재접근이었다.
또 지역화폐는 도시로 집중되는 부를 지역 내에서 순환시키자는 의미이며 이는 지역소멸를 막기 위한 하나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해남군과 11개 농협이 급락하는 쌀값을 지지하기 위해 자체 벼수매 가격을 올린 것도 같은 의미이다. 쌀값을 단순 농민들의 문제가 아닌 식량주권이라는 공공적 가치로 인정했다는 의미이고 또 이는 농민들의 당연한 권리를 정부 대신 지자체와 농협이 나선 경우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추진, 선별적 복지시대를 열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을 앞세워 도시로 집중되는 자원을 지방정부로 확장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선별적 복지를 넘어선 보편적 복지정잭을 폈다. 
여기서 더 나아간 것이 기본사회이다. 공공재에서 발생한 부를 공유하는 것은 국민의 권리이고 이러한 국민적 권리를 정부정책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이 국가운영 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기본사회, 민주당이 집권하면 지자체의 각종 정책도 기본사회라는 틀로 변화를 맞게 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