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인사가 연일 뉴스를 도배하고 있다. 실용과 능력 위주의 인사, 서열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인사는 국민들을 감동시키기도 분노하게도 만든다. 사조직이 아닌 공적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인사라 더욱 그렇다.  
해남군은 오는 7월1일자 정기인사를 단행한다. 아쉽게도 해남군의 인사는 철저히 서열 위주의 인사다. 
해남군의 이러한 서열인사 때문에 “날마다 잠자고 있더니 차례가 되니 승진하더라”는, 웃어넘기기엔 뜨끔한 농담조 이야기마저 나온다. 
서열인사가 당연시되다보니 해남군청 각 직렬에서도 서열을 철저히 따진다. 각 부서장들도 서열에 따라 근무평점을 매긴다. 어디 그뿐인가. 별반 능력도 업무실적도 그렇고 그런데도 서열을 따지며 승진을 요구한다. 서열인사가 불러온 불행이다. 이러한 서열인사는 공직사회의 하향 평준화도 불러왔다. 
발탁인사만이 조직의 상향 평준화를 불러올 수 있다. 업무실적이 높고 능력이 된다면 과감한 발탁인사가 단행돼야 공직사회가 살고 해남군이 산다.
해남군은 공무원들만의 조직이 아니다. 엄연히 공적 조직이다. 따라서 능력 위주의 인사 단행은 공적 책임이며 이는 군민이 위임한 임무이다.  
서열위주의 인사가 위험한 것은 공직사회의 수직화, 창의성이 상실되는 조직으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 과감한 업무추진 등은 발탁인사가 활발해야 가능하다. 
행정은 숱한 사업에서도 군민들을 감동케 하지만 인사도 그 범위에 포함된다. 시간만 흐르면 자동으로 승진되는 서열인사는 한마디로 해남군민을 안중에 두지 않는 인사다. 누가 더 빨리 승진했고 누가 더 먼저 임용됐으니 승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닌 누가 능력 있고 탁월한 업무능력을 갖추고 있으니 승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도는 공직사회를 위해 과감한 발탁 인사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