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재 도의원
박성재 도의원이 지난 7월14일 제392회 임시회 해양수산국 업무보고에서, 전남 어업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안전 인프라 강화, 기술 기반의 미래 수산 대응 체계 구축, 내수면 생태계 보전을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블루길·배스 등 포식성 외래어종은 여전히 내수면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며, “수매 단가 인상으로 물량이 감소한 것이라면 정책 구조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규 김 활성처리제가 9월부터 전 어가에 본격 보급될 예정인 만큼, 기존 약품의 잔여분 관리와 신규 보급 준비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남은 약품이 해안가에 방치되지 않도록 시군과 협력해 회수 및 홍보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어선 대형화에 따른 승선 안전 문제의 심각성도 지적했다. 박 의원은 “작업 중 바다에 빠졌을 때 스스로 배에 오르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다”며, “줄사다리 등 어업 현장에 특화된 실질적인 안전장비 보급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드론 및 수중기술을 활용한 김 양식 관리 및 유기산 살포 체계 도입을 제안했다.
박성재 도의원은 “농업은 이미 AI·드론 중심의 정밀농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나, 수산분야는 여전히 과거 방식에 머물러 있다”며, “수중 드론을 활용한 병해 예찰 및 약제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전남이 ‘선진 어법(漁法)’을 주도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조아름 기자
5340234@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