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급인 옥천 영신변전소의 전기선로 85% 이상이 강진군으로 연결되는 문제는 해남군민들에게 영토권에 대한 인식을 키웠다. 
해남군민의 재산권과 환경권, 건강권을 침해하는 다양한 사업들이 해남땅에서 이뤄지고 있는데도 이를 묵인해 왔던 것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영신변전소의 선로연결과 관련해 전면에 나선 이들은 해남 태양광사업자들이다. 이들은 한전을 상대로 선로변경 요구 투쟁에 이어 해남군과 해남군의회에도 나설 것을 주문하는 등 영토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했다.  
영토권에 대한 인식은 최근 마산 상등리~산이면 4차선 확포장 공사에서도 나타났다. 전남도가 추진하는 이 도로에는 농기계도로가 형식적으로만 설계돼 있었다. 이에 민주당 해남완도진도지역위원회가 주민들의 생명권을 이유로 설계변경을 요구, 농기계도로 신설로 설계가 변경됐다. 해남 땅에서 이뤄진 국도 및 지방도로 공사가 일방적으로 추진돼 온 것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특히 최근 진행된 강진~옥천 확포장 공사는 영토주권에 대한 인식 없이 수용한 결과 농기계가 없는, 주민들의 생명권이 없는 가장 위험한 도로가 됐다. 
따라서 마산~산이 확포장 공사 설계변경은 향후 해남에서 이뤄지는 도로설계에 대한 하나의 이정표가 됐다.
진도 맹골도와 신안 흑산도, 우이도, 제주 추자도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 선로는 모두 해남으로 연결된다. 해남바다와 육지를 관통하는 것이다.  
해상풍력 고압선로는 해남군민의 건강권과 환경권, 재산권을 침해하는 사업이다. 이에 송지면과 문내면은 주민대책위를 결성해 반대에 나섰다. 
물론 공유수면사용 허가권과 철탑 조성에 따른 개발행위 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해남군도 인허가를 쉽게 허락하지 않을 방침이지만 이는 너무도 수동적인 자세이다.
해상풍력과 관련해 해남군에 미칠 파장을 주체적으로 파악하고 군민들과 함께 대책을 강구하는 영토주권에 대한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이는 지역 이기주의가 아닌 권리의 문제이다.  
해상풍력 사업주들은 주민설명회 때 사업의 일부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설명회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간이 아닌 사업진행에 있어 주민수용성을 담보했다는 제출용 증거자료일 뿐이다. 
정부는 올 9월부터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에 따라 기존 송전설비주변법(송주법) 대비 추가 보상·지원, 고압 송전선이 지나가는 선로 아래 토지 매수, 경과 지역 주민에 대한 재생에너지 사업 지원 등의 주민 보상·지원도 확대한다.     
그러나 대도시로 향하는 에너지를 위해 해남은 에너지고속도로로 전락하게 된다. 
그동안 해남에서 이뤄진 모든 사업에 대해선 주민들만 전면에 나서 의견을 개진해왔다. 이에 반해 행정은 법적 여부만을 판단하는 위치에 머물렀다. 
해남땅에서 이뤄지는 제반 사업들, 특히 군민의 건강권과 환경권, 재산권, 생명권이 침해되는 영토주권에 대해선 행정도 주체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