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도 당원이 결정
군수선거 예비경선 가능성
내년 6‧3지방선거를 향한 초시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경선방식에 관심이 쏠린다.
핵심은 컷오프 최소화와 당원의 참여비율 강화다.
당원주권시대를 표방하고 있는 민주당은 그동안 지역 국회의원의 입김이 절대적으로 작동됐던 상임위원회를 통해 비례대표 1, 2번을 확정했다. 그러나 내년 지방선거에선 비례대표 후보도 당원 100% 여론조사로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광역·기초단체장 경선은 후보가 많을 경우 결선투표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후보가 4명 이상일 경우 권리당원 100%로 예비경선을 치러 본선 진출자를 가린다는 것이다.
다만 본선 경선은 기존대로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이다.
중앙당 차원에서 1차 컷오프를 진행하고 나머지 후보를 놓고 경선을 치른 예전과 달리 후보들에겐 경선참여 기회를, 당원들에겐 본선 진출자를 선택할 권한을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선방식은 후보가 많은 지역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현재 내년 해남군수선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후보는 명현관 군수와 김병덕 전 해남군의회 의장, 김성주 전 수협조합장, 박철환 전 군수, 이길운 전 해남군의회 의장 등 5명이 참여 입장을 밝히고 있다.
전남도지사 선거도 김영록 현 전라남도지사와 주철현, 신정훈, 서삼석, 이개호 현역 국회의원, 김회재 전 국회의원 등 6명이 뛰고 있다. 현재의 후보군이라면 당원을 대상으로 1차 예비경선을 치를 수 있다.
결선투표제가 도입될 경우 해남군수와 전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할 후보들은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치열한 예비경선을 먼저 치러야 한다.
현재 해남민주당원 수가 어느 정도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내년 지방선거를 위해 출마의사가 있는 인사들마다 지난 8월까지 당원가입 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여 기존 5,000여명을 능가한 당원이 가입됐을 것이란 추측뿐이다.
도의원과 군의원 경선은 예전과 같이 100% 당원경선으로 치를 가능성이 높다. 이때 대의원들의 권한도 권리당원처럼 1표제만이 허용된다.
또 여성과 청년, 장애인 예비후보에겐 기본 25%의 가산점을 주고 정치 신인은 10~20%의 추가 가산점을 준다. 가산점이 확대될 경우 여성과 청년, 장애인의 정치 진출이 더 넓어질 수 있다.
반면 평가 하위 20% 의원, 탈당, 징계, 공천불복 경력자에겐 15~30% 감산이 적용된다. 도덕적 잣대도 강화된다. 음주운전과 성비위, 부패 등에 연루된 인사의 경우 공천 자체에서 배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