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 : 황산면은 황원면(黃原面)과 산일면(山一面)이 합해진 것 ▲이목(梨木) : 배나무골. 후에 ‘이목정이목’으로 바뀌었다. 
▲교동 : 큰 마을. 크다의 옛말 ‘감‧곰’에서 나왔다. 큰 골>감골>감애골>가마골로 되었다. 한자로 쓸 때, 가마 교(轎)를 가져와서 교동(轎洞)이 됐다. 뒷산 옥녀봉에 사는 귀인이 ‘가마’를 타고 즐겨 찾아오는 ‘마을’이라 전해온다. 
▲원호(院湖) : 원이 있던 마을. 원님 및 사또들이 유숙하던 곳으로 원(院)터라고 불리웠다. 
▲우항 : 산 사이 잘록하게 들어간 곳. 사이목>새목>쇠목>소목이 된 후에, 소 우(牛) 목 항(項)자를 가져온 것이다. 소항(小項)은 작은 우항의 의미다. 
▲연호 : 연기(燕妓)라는 기생의 이름에서 나왔다는 설과 풍수지리적으로 제비를 닮은 터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와등(瓦燈) : 기와를 굽던 마을. 마을 옆에 있는 작은 산에 기와를 굽던 터가 있어서 ‘와막골’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 와등의 우리말 발음을 기와 와(瓦) 등 등(燈)으로 표시했다. 
▲들문 : 우수영으로 통하는 첫 관문이 있던 동네. 나중에 송호리(松湖里)로 바뀌었다. 
▲송호리 : 작은 포구. ‘작고 가늘다’는 뜻을 가진 우리 말 ‘솔’에서 나왔다. 작은 포구>솔개>송포(松浦)>송호(松湖)가 됐다. 작다는 의미의 ‘솔’을 ‘소나무’로 보고 솔 송(松)을 쓰고 ‘개’는 개 포, 물가 포(浦)를 쓴 것이다. 송포(松浦)의 발음이 송호(松湖)를 닮아서 호수 호(湖)를 넣었다. 
▲한자(閑子) : 큰 고개 또는 큰 산. 크다라는 뜻을 가진 ‘한’과 고개를 가리키는 ‘자>재’에서 유래했다. 큰 고개>한자>한자(閑子)가 된 것이다. 조선 말엽에 진씨가 귀양 와서 한가로이 거주한데서 한자(閑子)가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한가할 한(閑). ▲시등(市嶝) : 남리시장에서 유래하였다. 남리장등(南利場嶝)에서 바뀐 이름이다. 
▲관두리 : 관두산 아랫 마을. 시등과 우항리에 인접해 있었는데 1980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관두산(冠頭山) : 가장자리에 위치한 산. 가장자리를 뜻하는 ‘갓’과 ‘산’의 옛말 ‘마루’에서 유래했다. 가장자리 산>갓마루>갓머리>관두(冠頭)가 된 것이다. 
목포의 ‘갓바위’는 한자로 ‘입암(笠岩)’으로 쓰는데 ‘갓’을 ‘삿갓’으로 해석한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