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정에 따라서는 아버지가 가장으로서 권위나 역할이 축소돼 그 지위가 상실된 채 단순히 아이들의 친구나 손님 같은 위치로 전락하는 경우가 있다.
바쁘고 지친 직장생활 때문에 휴일에도 자녀들과 함께 지낼 수 없는 아버지의 입장으로서는 아버지로서의 교육적 역할 수행은 고사하고 우선은 아이들과 친숙해 지려다 보니 그렇게 되는 것 같다.
아버지의 위치가 겨우 친구나 손님 같은 입장에서는 자녀들에게 어떤 훈계나 지도가 제대로 먹혀들어 갈 수 없음은 물론이다.
아버지가 가정의 경제적인 책임을 질 수 있는 막강한 위치와 권위를 지니는 일도 중요하지만, 자녀교육에 있어서도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어머니가 못 미치는 영역의 지도를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심리적으로 아버지가 자녀들과 함께 지내면서 보여주는 동일시의 모델로서의 역할은 퍽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딸은 아버지를 통해 여성다움을 배우게 되며, 아들은 남성다움을 배워갈 수 있는 아버지의 역할은 어머니만으로는 해내기가 어려운 영역이기도 하다.
가정교육은 아버지의 확고한 자녀지도의 교육관 아래 합리적이고도 냉철한 지도와 어머니의 무한한 애정이 담긴 정서적 지도가 조화점을 찾을 때 이상적인 자녀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하겠다.
따라서 엄한 아버지의 권위와 훈육방식은 구시대의 낡은 유물이어서 내팽개쳐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자녀교육에 있어 작용되고 있는 이러한 아버지의 교육적 기능과 환경의 필요성을 부성실조 환경이란 말로 설명하고 있다.
부성실조란 아버지가 없거나 또한 오랫동안 떨어져 살게 된 경우를 뜻하지만 아버지가 있어도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포괄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용어이다.
요컨대 아버지로부터 받아야 할 부성애와 지도가 결핍되어 결과적으로 자녀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여러 가지 장애를 주게 되는 부적합한 환경을 의미한다.
대개의 부성실조의 문제는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 그리고 부친의 사망 등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아버지 상에서 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과 지도에 무관심하여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든지, 아니면 아버지의 이미지가 거부감을 주거나 공포의 대상이 될 때도 나타난다.
이는 가정교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존재가 양육과 교육의 후원자나 보조자가 아니라 여러 가지 정서적, 사회적 덕목을 직접적으로 가르칠 수 있어야 함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아버지의 가정교육 참여를 유도하는 어머니의 지혜도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하겠다.
최근에 와서 가치관에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남성들도 사회에서의 성공 못지않게 가정을 중요시하게 되었으며, 가정의 행복이 직장에서의 성취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아버지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변하고 있고 따라서 가정의 모습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다시 말해, 가정의 영역이 중요하고 가정생활에서의 아버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